
▲ 권일근 LG이노텍 CTO(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전무와 양창범 국립축산과학원 원장(왼쪽에서 세 번째), 문홍길 가금연구소 소장(왼쪽에서 네 번째)이 21일 전북 완주군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양계 스마트팜 기술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권일근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와 양창범 국립축산과학원 원장, 가금연구소 문홍길 소장 등이 21일 전북 완주군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인공지능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하기로 공동연구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LG이노텍은 22일 밝혔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 카메라와 각종 센서가 닭 수 만 마리의 상태뿐 아니라 날씨 등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인공지능기술을 통해 양계장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 닭의 발육상태에 따라 출하시점을 예측해주고 닭의 전염병 감염증상도 파악함으로써 전염병에 따른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닭의 성장 단계별 행동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표준을 마련한다.
LG이노텍은 카메라와 온도 및 습도센서 등으로 이뤄진 계측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기로 했다.
LG이노텍은 이미 카메라를 활용한 개체 인식 기술과 닭의 이상 움직임 검출 알고리즘 등 기반 기술은 확보했고 2020년까지 양계 농가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 완성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LG이노텍 관계자는 "대규모 양계장이 닭 수 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등 전염병에 닭이 감염될 수 있다"면서 "인공지능 스마트팜 기술이 개발되면 닭의 전염병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