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지난해 4분기에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냈다.
셀트리온은 잠정적으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4분기에 별도기준으로 매출 8289억 원, 영업이익 5173억 원을 냈다고 19일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62.4%였다.
2016년 4분기보다 매출은 43.5%, 영업이익은 104.7% 늘어났는데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이다.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치료용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의 유럽과 미국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고 지난해 2월 유럽에서 판매허가를 획득한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도 판매를 본격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매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트룩시마는 램시마보다 빠른 속도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며 “경쟁자 없는 트룩시마의 판매 증가와 바이오시밀러 판매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공장수율 개선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 등의 이유로 수익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
셀트리온은 잠정적으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4분기에 별도기준으로 매출 8289억 원, 영업이익 5173억 원을 냈다고 19일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62.4%였다.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2016년 4분기보다 매출은 43.5%, 영업이익은 104.7% 늘어났는데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이다.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치료용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의 유럽과 미국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고 지난해 2월 유럽에서 판매허가를 획득한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도 판매를 본격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매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트룩시마는 램시마보다 빠른 속도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며 “경쟁자 없는 트룩시마의 판매 증가와 바이오시밀러 판매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공장수율 개선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 등의 이유로 수익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