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자회사의 실적개선에 힘입어 3분기 매출은 증가했지만 마케팅비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SK하이닉스의 실적호조로 지분법 이익이 늘어나 순이익은 급증했다.
SK텔레콤은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4427억 원, 영업이익 3924억 원, 순이익 7930억 원을 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4.7% 늘었고 영업이익은 7.5% 감소했다. 순이익은 146.2% 증가했다.
SK텔레콤 매출증가는 이동통신 가입자 증가와 자회사의 실적개선이 이끌었다.
SK텔레콤의 전체 가입자는 3분기에 3016만 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만5천 명 늘어났으며 LTE 고객은 2257만 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74.8%에 이르렀다.
자회사들의 실적도 개선됐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TV(IPTV) 가입자 순증 및 유료 콘텐츠 판매 증가의 영향으로 3분기 매출 7602억 원, 영업이익 29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2% 증가했다.
SK플래닛은 11번가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3분기보다 5.8% 증가한 285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11번가는 효율적 마케팅을 통해 매출이 지난해 3분기보다 26% 늘었다.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SK텔레콤의 순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 지분 20.1% 보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8조1천억 원, 영업이익 3조7372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91%, 영업이익은 415% 급증했다.
SK텔레콤은 마케팅 비용의 증가와 신규 주파수 망 구축, 성장사업에 투자가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이 지난해 3분기보다 다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은 “통신시장을 둘러싼 제반 환경으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 나가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주요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것”이라며 “인공지능·사물인터넷·자율주행·미디어 등 신사업분야에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SK하이닉스의 실적호조로 지분법 이익이 늘어나 순이익은 급증했다.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SK텔레콤은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4427억 원, 영업이익 3924억 원, 순이익 7930억 원을 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4.7% 늘었고 영업이익은 7.5% 감소했다. 순이익은 146.2% 증가했다.
SK텔레콤 매출증가는 이동통신 가입자 증가와 자회사의 실적개선이 이끌었다.
SK텔레콤의 전체 가입자는 3분기에 3016만 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만5천 명 늘어났으며 LTE 고객은 2257만 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74.8%에 이르렀다.
자회사들의 실적도 개선됐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TV(IPTV) 가입자 순증 및 유료 콘텐츠 판매 증가의 영향으로 3분기 매출 7602억 원, 영업이익 29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2% 증가했다.
SK플래닛은 11번가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3분기보다 5.8% 증가한 285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11번가는 효율적 마케팅을 통해 매출이 지난해 3분기보다 26% 늘었다.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SK텔레콤의 순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 지분 20.1% 보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8조1천억 원, 영업이익 3조7372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91%, 영업이익은 415% 급증했다.
SK텔레콤은 마케팅 비용의 증가와 신규 주파수 망 구축, 성장사업에 투자가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이 지난해 3분기보다 다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은 “통신시장을 둘러싼 제반 환경으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 나가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주요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것”이라며 “인공지능·사물인터넷·자율주행·미디어 등 신사업분야에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