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집트를 공식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대중동 정책 구상인 '샤인(SHINE)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각) 이집트 카이로 카이로대학에서 가진 연설에서 "중동과 대한민국이 함께할 비전으로 '샤인(SHINE) 이니셔티브'를 제안한다"며 "이를 토대로 중동과 한반도가 상생하는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SHINE' 조어의 뜻에 대해 "S는 안정(Stability), H는 조화(Harmony), I는 혁신(Innovation), N은 네트워크(Network), E는 교육(Education)을 뜻한다"고 소개했다.
이 가운데 안정(S)과 조화(H)는 한반도와 중동의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원칙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안정(S)과 조화(H) 관련해 "안정과 조화에 기반한 한반도와 중동의 평화를 구축해 나가겠다"며 "우리 정부는 2007년부터 레바논에 동명부대를 파병해 중동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두 국가 해법을 일관되게 지지하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의 건설적 해결에 뜻을 모았고 분쟁지역의 식량난을 해결할 인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늘 카이로 방문을 계기로 가자 사태를 함께 극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이집트 적신월사에 1천만 달러를 새로 기여할 것"이라며 "글로벌 책임 강국 대한민국은 중동에서도 연대의 가치를 굳건히 수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혁신(I) 관련 설명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에너지 건설 분야에서의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인공지능·수소 등 혁신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확대할 것"이라며 "한-이집트 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등 자유무역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노력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규모 건설 수주나 원유 도입이 없었다면 세계 10위 경제 대국인 대한민국은 존재할 수 없었다.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초고속 압축 성장은 중동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성취"라며 "이제는 대한민국이 ‘나일강의 기적’에 기여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네트워크(N)와 교육(E)을 중심으로 하는 인적교류 확대 방안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더 많은 이집트 학생이 한국으로 유학 올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넓힐 것"이라며 "한국에서도 중동 전문가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더불어 "이 과정에서 문화 교류의 지평은 더 넓어질 것"이라며 "최근 개관한 이집트 대박물관과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도 다양한 협력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카이로대학 연설에서도 한반도와 중동에서 양국의 '평화 중재자'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정으로 '이집트-이스라엘' 반목을 종식시킨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과 가자지구 휴전을 만들어 낸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을 예로 들며 "우리 대한민국의 길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김대중 대통령을 비롯한 전임 대통령들은 금단의 선을 넘으며 한반도 평화의 새 길을 개척해 왔다"고 했다. 조성근 기자
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각) 이집트 카이로 카이로대학에서 가진 연설에서 "중동과 대한민국이 함께할 비전으로 '샤인(SHINE) 이니셔티브'를 제안한다"며 "이를 토대로 중동과 한반도가 상생하는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각) 이집트 카이로대학에서 '함께 여는 빛나는 미래'를 주제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SHINE' 조어의 뜻에 대해 "S는 안정(Stability), H는 조화(Harmony), I는 혁신(Innovation), N은 네트워크(Network), E는 교육(Education)을 뜻한다"고 소개했다.
이 가운데 안정(S)과 조화(H)는 한반도와 중동의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원칙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안정(S)과 조화(H) 관련해 "안정과 조화에 기반한 한반도와 중동의 평화를 구축해 나가겠다"며 "우리 정부는 2007년부터 레바논에 동명부대를 파병해 중동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두 국가 해법을 일관되게 지지하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의 건설적 해결에 뜻을 모았고 분쟁지역의 식량난을 해결할 인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늘 카이로 방문을 계기로 가자 사태를 함께 극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이집트 적신월사에 1천만 달러를 새로 기여할 것"이라며 "글로벌 책임 강국 대한민국은 중동에서도 연대의 가치를 굳건히 수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혁신(I) 관련 설명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에너지 건설 분야에서의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인공지능·수소 등 혁신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확대할 것"이라며 "한-이집트 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등 자유무역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노력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규모 건설 수주나 원유 도입이 없었다면 세계 10위 경제 대국인 대한민국은 존재할 수 없었다.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초고속 압축 성장은 중동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성취"라며 "이제는 대한민국이 ‘나일강의 기적’에 기여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네트워크(N)와 교육(E)을 중심으로 하는 인적교류 확대 방안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더 많은 이집트 학생이 한국으로 유학 올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넓힐 것"이라며 "한국에서도 중동 전문가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더불어 "이 과정에서 문화 교류의 지평은 더 넓어질 것"이라며 "최근 개관한 이집트 대박물관과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도 다양한 협력을 이어갔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카이로대학 연설에서도 한반도와 중동에서 양국의 '평화 중재자'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정으로 '이집트-이스라엘' 반목을 종식시킨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과 가자지구 휴전을 만들어 낸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을 예로 들며 "우리 대한민국의 길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김대중 대통령을 비롯한 전임 대통령들은 금단의 선을 넘으며 한반도 평화의 새 길을 개척해 왔다"고 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