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조기업의 연간 영업이익 목표 대비 실적 전망(왼쪽), 2025년 영업수지 전망.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75곳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조기업 75.0%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설정한 목표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에 진행된 조사에서 ‘목표치 미달’에 응답한 기업 비중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영업이익 실적이 올해 목표치 수준에 부합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0.4%였으며,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영업이익 실적이 목표치에 못 미치는 기업이 늘면서 영업수지 전망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올해 영업손실을 예상한 기업은 32.1%로, 흑자를 예상한 기업(27.0%)보다 많았다. 또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돌아선 기업 비중은 7.1%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고 응답한 기업(3.1%)의 두 배를 넘었다.
올해 제조기업들은 힘든 시장상황을 겪고 있다.
내수는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경기 침체도 이어지며 내수여건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했다. 수출도 반도체를 제외하면 1~9월 누적 수출이 전년 대비 1.5% 감소해 회복세로 보기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상황이 부진한 가운데 비용 측면의 부담은 커지고 있다.
기업 경영상 비용 측면에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제조기업들은 ‘원자재가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구리,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가격이 상승하며 생산원가 부담이 높아지고, 인건비도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 인건비 상승 요인까지 더해지며 기업 채산성이 더욱 악화될 조짐이다.
상의는 기업실적 기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입법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우선 법인세 인상, 포괄임금제 금지 등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입법에 신중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원자재가 상승, 관세 인상 등 기업 비용 부담이 큰 상황에서 추가적인 비용적·행정적 부담까지 추가된다면 기업 투자가 위축되고, 경기 반등 동력도 약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기업규제를 확대하기보다는 경영 불확실성 완화를 우선시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산업별 특성에 맞는 투트랙 산업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은 올해 국내외 정치·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대외적으로는 관세 부담, 대내적으로는 내수침체, 비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를 한꺼번에 감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영환경이 전방위적으로 악화되고 경기전망 기대감도 바닥에 떨어진 지금이야말로 국회와 정부가 입법을 통해 우리 기업들에게 힘을 불어넣어야 할 적기”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