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3분기 들어 생산과 소비 등 주요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건설투자 회복 지연과 미국의 고율 관세 등 경기 하방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월별 등락에도 전반적인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며 "추경 신속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규모 할인행사 등을 통해 내수 활성화에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8월 산업활동이 분야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광공업이 2.4% 증가했으나 건설업(-6.1%)과 서비스업(-0.7%)이 감소했다. 소매판매(-2.4%)와 설비투자(-1.1%)도 줄었지만 소비자심리지수는 110.1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고용 여건은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였다. 9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1만2천 명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은 일시적 조업일수 증가 영향으로 반등했다. 9월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12.6%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올랐지만 일평균 기준으로는 –6.1%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다만 건설투자 부진이 경기 전반의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건설업 생산은 전월보다 6.1% 감소했다.
정부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글로벌 경제와 관련해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권석천 기자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월별 등락에도 전반적인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며 "추경 신속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규모 할인행사 등을 통해 내수 활성화에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기획재정부가 경기 주요 지표가 상반기 부진을 벗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진은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그린북. <연합뉴스>
기재부는 8월 산업활동이 분야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광공업이 2.4% 증가했으나 건설업(-6.1%)과 서비스업(-0.7%)이 감소했다. 소매판매(-2.4%)와 설비투자(-1.1%)도 줄었지만 소비자심리지수는 110.1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고용 여건은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였다. 9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1만2천 명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은 일시적 조업일수 증가 영향으로 반등했다. 9월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12.6%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올랐지만 일평균 기준으로는 –6.1%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다만 건설투자 부진이 경기 전반의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건설업 생산은 전월보다 6.1% 감소했다.
정부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글로벌 경제와 관련해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