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논의가 진전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한국이 미국에 요청한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와 관련해 “별로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통화 스와프는 앞서 우리가 제안했고 미국이 이를 붙들고 있었지만, 미국 측에 의해 잘 작동이 된 것은 아니다”며 “재무부와 우리 사이의 통화 스와프는 무제한이든 유제한이든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대미 투자금의 운용 방안과 관련해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합리적 수준의 직접 투자 비중 △투자처 선정 관여권 보장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의 브리핑 이후 대변인실 명의의 공지를 통해 위 실장의 통화 스와프 관련 언급에 대해서 “아직 양측이 합의를 하지 않았고 협의 중이라는 취지”라며 “현재 한미 관세협상은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주요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혀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위 실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한국이 미국에 요청한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와 관련해 “별로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위 실장은 “통화 스와프는 앞서 우리가 제안했고 미국이 이를 붙들고 있었지만, 미국 측에 의해 잘 작동이 된 것은 아니다”며 “재무부와 우리 사이의 통화 스와프는 무제한이든 유제한이든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대미 투자금의 운용 방안과 관련해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합리적 수준의 직접 투자 비중 △투자처 선정 관여권 보장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의 브리핑 이후 대변인실 명의의 공지를 통해 위 실장의 통화 스와프 관련 언급에 대해서 “아직 양측이 합의를 하지 않았고 협의 중이라는 취지”라며 “현재 한미 관세협상은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주요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혀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