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오는 22일 구글과 함께 개발한 확장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15일 ‘멀티모달 인공지능(AI)의 새로운 시대, 더 넓은 세상이 열린다’는 이름의 행사 초대장을 배포하고 오는 22일 오전 11시 프로젝트 무한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 행사가 아닌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다.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닷컴 홈페이지, 삼성전자 유튜브 등에서 시청할 수 있다.
프로젝트 무한은 구글과 삼성이 함께 개발했으며, 두뇌는 퀄컴의 XR 기기용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XR2 +2세대’ 칩을 탑재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XR’ 운영체제가 탑재됐으며 AI ‘제미나이’를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행사 이름에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시대’를 넣은 이유도 다양한 AI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기의 디스플레이는 좌우 한 개씩 4K 마이크로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각 디스플레이는 4032PPI(인치 당 픽셀 수)의 고밀도를 구현했다. 이는 총 2900만 화소에 달하는 해상도다.
사용자는 기기를 눈, 손, 음성 등을 활용해 제어할 수 있다. 프로젝트 무한은 손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기기 전면에 4개, 하단에 2개의 센서와 카메라를 탑재했다. 더욱 정밀한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 역시 제공된다.
프로젝트 무한은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는 애플의 ‘비전 프로’를 반면 교사 삼아, 무게를 줄이고 합리적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기의 무게는 비전프로의 600g보다 약 50g 더 가벼운 545g 정도로 추정된다. 배터리 수명은 일반 사용 시 2시간, 영상 재생 시 2.5시간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프로젝트 무한의 예상 가격은 250만 원부터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500만 원에 달하는 비전 프로 가격의 절반 가량이다. 김호현 기자
삼성전자는 15일 ‘멀티모달 인공지능(AI)의 새로운 시대, 더 넓은 세상이 열린다’는 이름의 행사 초대장을 배포하고 오는 22일 오전 11시 프로젝트 무한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가 2025년 1월22일(현지시각) 미국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전시한 확장현실(XR) 기기 '프로젝트 무한'. <삼성전자>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 행사가 아닌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다.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닷컴 홈페이지, 삼성전자 유튜브 등에서 시청할 수 있다.
프로젝트 무한은 구글과 삼성이 함께 개발했으며, 두뇌는 퀄컴의 XR 기기용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XR2 +2세대’ 칩을 탑재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XR’ 운영체제가 탑재됐으며 AI ‘제미나이’를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행사 이름에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시대’를 넣은 이유도 다양한 AI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기의 디스플레이는 좌우 한 개씩 4K 마이크로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각 디스플레이는 4032PPI(인치 당 픽셀 수)의 고밀도를 구현했다. 이는 총 2900만 화소에 달하는 해상도다.
사용자는 기기를 눈, 손, 음성 등을 활용해 제어할 수 있다. 프로젝트 무한은 손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기기 전면에 4개, 하단에 2개의 센서와 카메라를 탑재했다. 더욱 정밀한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 역시 제공된다.
프로젝트 무한은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는 애플의 ‘비전 프로’를 반면 교사 삼아, 무게를 줄이고 합리적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기의 무게는 비전프로의 600g보다 약 50g 더 가벼운 545g 정도로 추정된다. 배터리 수명은 일반 사용 시 2시간, 영상 재생 시 2.5시간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프로젝트 무한의 예상 가격은 250만 원부터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500만 원에 달하는 비전 프로 가격의 절반 가량이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