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구글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등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사기 행각을 차단하는 보안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과기부는 4일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구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강화된 보안 프로그램인 ‘강력 사기 방지 보호(EFP, Enhanced Fraud Protection)’ 출시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기부와 구글 '보이스피싱 방지 프로그램' 내놓기로, "단말기서 악성앱 설치 자동 차단"

▲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서울 성북구 국민대학교 양자캠퍼스에서 국민대학교가 개발한 양자보안기술 기반의 차량원격제어기술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EFP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문자 메시지, 파일 관리자 등을 통해 앱을 설치하려 할 때 특정 민감한 권한을 요청하는 앱을 자동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EFP는 보이스피싱을 삼중으로 차단하는 단계 중 마지막 단계에서 적용된다.

정부는 지난 8월 28일 국무조정실 주관의 범정부 전담반 회의에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불법스팸-악성앱 3중 차단’ 정책을 발표했다. EFP는 3중 차단 중 세 번째 단계에서 작동한다.

‘불법스팸-악성앱 3중 차단’은 △1단계, 모든 문자 사업자의 ‘악성 문자 탐지·차단 체계’ 통과 △2단계, 이동통신사가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 접속 차단 및 전화번호 위변조 여부 확인을 통한 악성 문자 차단 △3단계, 개별 단말기에서 악성 앱 설치 자동 차단으로 구성된다.

이번 조치는 최근 보이스피싱 증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6천억 원을 넘어섰다”며 “이는 지난해 상반기(3243억 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금전적 피해뿐 아니라 정신적 고통을 수반해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민생범죄로,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과기정통부는 보이스피싱범이 범죄 수단을 확보하는 단계부터 피해자를 속여 금전 탈취를 시도하는 단계까지 전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기전화를 확실히 근절하겠다”고 말했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