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권이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로 어려움에 처한 한국 기업에 267조 원 규모를 지원한다.

금융위원회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미국 관세 대응을 위한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열었다.
 
금융권 미국 관세위기 대응에 267조 지원, 기업구조혁신펀드 1조 규모로 조성

▲ 금융권이 미국 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 기업 금융지원에 267조 원을 투입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유관기관 관계자와 5대 금융지주 최고전략책임자(CSO) 등이 참석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25% 고율관세를 피하면서 수출시장 불확실성이 조금 해소됐지만 여전히 상호관세 15%에 407개 품목관세 추가로 기업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권이 올해 초부터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선제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며 “이에 더해 피해 최소화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금융 지원방안을 더욱 구체화하고 강화해갈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우선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수출입은행,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2026년까지 관세 대응에 172조 원을 지원한다. 

지원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천억 원) 수출다변화(33조3천억 원) 산업경쟁력 강화(91조5천억 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 원) 등이다.

5대 금융지주는 올해 들어 관세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으로 약 45조 원을 공급했다. 이를 포함해 2026년까지 모두 95조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수출 바탕의 주력산업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기업구조혁신펀드도 1조 원 규모로 조성한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부 재정과 정책금융기관 등의 출자와 민간매칭을 통해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투자하는 정책펀드다.

이번 펀드의 지원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산업분야 사전·사후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다.

권 부위원장은 “관세 피해 지원은 숫자도 중요하지만 피해기업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금융위원회는 피해기업, 금융권과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며 실질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