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울대·카이스트 AICT 공동연구 협력 확대, 핵심 AI 기술 개발

▲ KT는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과 각각 산학 공동 연구를 추진하며, AICT 기술 개발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2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열린 워크숍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 KT >

[비즈니스포스트] KT는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각각 산학 공동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AICT(인공지능+정보통신) 기술 개발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워크숍을 2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 부사장과 배순민 KT AI퓨처 랩장 상무, 장병탁 서울대학교 AI연구원 교수와 김기응 KAIST 김재철AI대학원 교수를 비롯해 교수진과 연구진 총 1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향후 1년 간 협력을 이어갈 연구 과제 공유와 구체적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산학 공동 연구는 KT가 추진하는 전략적 오픈 연구개발(R&D)의 일환으로 기존 산학 협력의 범위를 서울대와 KAIST로 확장해 더욱 심화된 협력 모델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장기 연구개발을 넘어 실제 AICT 사업과 직결될 수 있는 자율형 에이전트, 책임있는 AI, 피지컬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추론 효율화 등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KT 측은 이를 통해 AI 핵심 기술의 내재화와 역량 강화,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 성과 창출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대와 KAIST는 각 기관의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역할을 분담해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 

KT는 그래픽저장장치(GPU)와 AI 모델, 데이터 등 연구에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제공한다. 특히 믿:음 2.0 등 KT 자체 한국적 AI 모델 라인업을 적극 활용해 연구의 실행력을 높인다.

서울대학교는 인간 중심 신뢰 기반의 AI 핵심 기술 고도화를 위해 △자율형 에이전트를 위한 강건한 컨텍스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프레임워크 △RAI 평가기준 및 신뢰성 개선 △사용자 상호작용 액션너블 AI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 기술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KT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확보한 핵심 기술을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인 믿:음 2.0의 고도화와 자율형 에이전트, 책임있는 AI 등 한국적 AI 라인업 강화에 적극 활용한다. 

또한 이를 공공, 법률, 금융, 교육,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데이터-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정교한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협력 범위를 확장해 AI 기술의 효율성과 적용 가치를 극대화하고 글로벌 경쟁력까지 선도해 나간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