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업체 "중국 디스플레이 글로벌 생산 점유율 2028년 75% 전망, 한국은 8%"

▲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조사한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지역별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점유율 그래프.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비즈니스포스트] 중국의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점유율이 2028년 75% 수준에 달할 것이며, 한국의 점유율은 8%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일 ‘지역별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디스플레이 생산능력이 지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은 2023년 68% 점유율에서 2028년 7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능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4.0% 수준일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디스플레이 생산능력은 연평균 0.6% 성장하지만, 점유율은 2023년 9%에서 2028년 8%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대만의 생산능력은 연평균 2.3% 감소하며, 2023년 19% 점유율에서 2028년 16%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점유율은 2023년 4%에서 2028년 1%로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성장률은 –21.3%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샤프’는 2024년 3분기 ‘SDP G10’과 ‘Sakai G4.5 올레드(OLED) 라인’을 정지했으며, 올해 2분기 ‘JDI Tottori 액정표시장치(LCD)’ 라인을 폐쇄했다. 2026년 2분기에는 ‘Mobara LCD’ 라인의 가동 중단을 앞두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액정표시장치(LCD) 가운데 TV/IT 부문은 2028년까지 최소 73%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뒤이어 모바일과/IT 부문은 14% 점유율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OLED 모바일/IT는 2028년 점유율이 7%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OLED TV/IT 부문은 4%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OLED 모바일/IT 부문은 연평균 성장률 6.7%로 부문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OLED TV/IT 부문이 2.6%, LCD TV/IT 부문이 2.4%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