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세계적 제약사들이 비만치료제를 경구용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를 포함해 빅파마들이 비만치료제에서 주사제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경구용 의약품이나 알약을 개발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라이릴리가 26일(현지시각) 알약 형태의 비만치료제 임상 3상 주요 데이터를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라이릴리는 경구용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인 오르포글리프론을 비만과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에서 72주에 상당한 체중을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음식과 물 제한 없이 하루 한 번 복용한 오르포글리프론 36㎎은 위약에 비해 체중을 평균 10.5%(22.9 파운드) 감소시켰다.
일라이릴리뿐 아니라 노보노디스크도 알약 형태의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후기 단계 시험에서 약 15% 체중 감소를 보여준 바 있다.
머크도 중국 한소파마와 경구용 소분자 GLP-1 작용제인 ‘HS-10535’를 중기 단계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협회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일라이릴리 젭바운드(국내명 마운자로)와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인기가 계속 높아지면서 2030년대 초반까지 15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장은파 기자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를 포함해 빅파마들이 비만치료제에서 주사제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경구용 의약품이나 알약을 개발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27일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세계적 제약사들이 알약 형태의 비만치료제 개발에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라이릴리가 26일(현지시각) 알약 형태의 비만치료제 임상 3상 주요 데이터를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라이릴리는 경구용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인 오르포글리프론을 비만과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에서 72주에 상당한 체중을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음식과 물 제한 없이 하루 한 번 복용한 오르포글리프론 36㎎은 위약에 비해 체중을 평균 10.5%(22.9 파운드) 감소시켰다.
일라이릴리뿐 아니라 노보노디스크도 알약 형태의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후기 단계 시험에서 약 15% 체중 감소를 보여준 바 있다.
머크도 중국 한소파마와 경구용 소분자 GLP-1 작용제인 ‘HS-10535’를 중기 단계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협회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일라이릴리 젭바운드(국내명 마운자로)와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인기가 계속 높아지면서 2030년대 초반까지 15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