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 동안 미국에 260억 달러(36조1192억 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3월 발표한 210억 달러(29조1690억 원)에서 50억 달러(6조9450억 원) 증가한 규모다. 미국 투자의 핵심 분야는 제철과 자동차, 로봇 등 미래산업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 정부의 정책에 대응하는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확대해 모빌리티를 비롯한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미국 루이지애나주에는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저탄소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해 자동차 등 미국 핵심 전략산업에 공급한다.
루이지애나 제철소가 완공되면 미국에서 철강-부품-완성차로 이어지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하게 돼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자동차 생산능력도 확대한다.
지난해 70만 대였던 미국 완성차 생산능력을 큰 폭으로 확대하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내연기관차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여 미국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부품, 물류 그룹사들도 설비를 증설해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부품의 현지 조달을 추진하는 등 완성차-부품사 공급망을 강화한다.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도 신설한다.
현대차그룹은 로봇은 물론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중심차(SDV)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된 미국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보스턴다이내믹스, 모셔널 등 미국 현지 법인의 사업화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윤인선 기자
지난 3월 발표한 210억 달러(29조1690억 원)에서 50억 달러(6조9450억 원) 증가한 규모다. 미국 투자의 핵심 분야는 제철과 자동차, 로봇 등 미래산업이다.

▲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 동안 미국에 260억 달러(36조1192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지난 3월 발표한 210억 달러(29조1690억 원)에서 50억 달러(6조9450억 원) 증가한 규모다. 사진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 정부의 정책에 대응하는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확대해 모빌리티를 비롯한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미국 루이지애나주에는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저탄소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해 자동차 등 미국 핵심 전략산업에 공급한다.
루이지애나 제철소가 완공되면 미국에서 철강-부품-완성차로 이어지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하게 돼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자동차 생산능력도 확대한다.
지난해 70만 대였던 미국 완성차 생산능력을 큰 폭으로 확대하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내연기관차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여 미국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부품, 물류 그룹사들도 설비를 증설해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부품의 현지 조달을 추진하는 등 완성차-부품사 공급망을 강화한다.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도 신설한다.
현대차그룹은 로봇은 물론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중심차(SDV)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된 미국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보스턴다이내믹스, 모셔널 등 미국 현지 법인의 사업화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