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달성된다면 전기 이용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국민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다 보면 전기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적극적으로 국민에게 알려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고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 발언 의미에 관해 “무작정 전기요금을 올린다, 내린다가 아니고 온실가스 목표를 추구하다보면 그런 압력이 생길 수 있으니 이를 잘 살피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 안에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년 국가 온실감스 감축 계획과 관련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법제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2035년 목표를 설정해야한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국가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철강, 정유, 화학 등 일부 업종 특수성도 고려해서 정책을 추진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김대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다 보면 전기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적극적으로 국민에게 알려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고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수석은 이 대통령 발언 의미에 관해 “무작정 전기요금을 올린다, 내린다가 아니고 온실가스 목표를 추구하다보면 그런 압력이 생길 수 있으니 이를 잘 살피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 안에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년 국가 온실감스 감축 계획과 관련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법제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2035년 목표를 설정해야한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국가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철강, 정유, 화학 등 일부 업종 특수성도 고려해서 정책을 추진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