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올리브영이 중소 화장품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돕는다.
CJ올리브영은 9일부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차세대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K슈퍼루키 위드영’ 본사업을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K슈퍼루키 위드영은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수출 잠재력이 높은 중소 화장품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CJ올리브영의 동반성장 프로그램이다.
CJ올리브영은 5월 공모를 시작으로 약 2달 동안 지원서 심사와 준비 과정을 거쳐 본격적 운영을 시작한다.
CJ올리브영에 따르면 이번 사업에는 중소 브랜드사 모두 232개가 참여해 경쟁률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CJ올리브영은 제품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브랜드를 최종 25개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슈퍼루키 브랜드는 9일부터 올해 말까지 올리브영의 온·오프라인 유통망으로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각도 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 강남·명동 등 핵심 상권을 비롯해 인천국제공항·부산·제주 등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지역 주요 거점 매장 25개에 ‘K슈퍼루키 위드영’ 전용 매대를 설치해 한국을 방문한 글로벌 고객에게 브랜드를 소개한다.
16일부터는 CJ올리브영의 해외 판매 플랫폼인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관련 기획전을 열고 전 세계 고객으로 판매 접점을 확대한다.
브랜드별 주력 제품과 진출 희망 국가, 타깃 고객에게 맞춘 마케팅 전략 수립을 돕기 위해 글로벌 사업 부서의 전문 컨설팅도 제공할 계획을 세웠다고 CJ올리브영은 말했다.
8월1~3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CJENM 주최 ‘케이콘 2025’ 기간 CJ올리브영은 행사장 안 자사 부스에 전용 전시 공간을 마련해 해외 K뷰티 팬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장도 열기로 했다.
CJ올리브영은 “우수한 제품력을 갖췄음에도 해외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중소 브랜드가 여전히 많다는 점에 주목해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며 “단기 지원을 넘어 브랜드의 글로벌 안착을 돕고 K뷰티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CJ올리브영은 9일부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차세대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K슈퍼루키 위드영’ 본사업을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 CJ올리브영 명동중앙점 K슈퍼루키 위드영 전용 매대에서 미국인 젠야씨가 쇼핑을 하고 있다. < CJ올리브영 >
K슈퍼루키 위드영은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수출 잠재력이 높은 중소 화장품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CJ올리브영의 동반성장 프로그램이다.
CJ올리브영은 5월 공모를 시작으로 약 2달 동안 지원서 심사와 준비 과정을 거쳐 본격적 운영을 시작한다.
CJ올리브영에 따르면 이번 사업에는 중소 브랜드사 모두 232개가 참여해 경쟁률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CJ올리브영은 제품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브랜드를 최종 25개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슈퍼루키 브랜드는 9일부터 올해 말까지 올리브영의 온·오프라인 유통망으로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각도 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 강남·명동 등 핵심 상권을 비롯해 인천국제공항·부산·제주 등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지역 주요 거점 매장 25개에 ‘K슈퍼루키 위드영’ 전용 매대를 설치해 한국을 방문한 글로벌 고객에게 브랜드를 소개한다.
16일부터는 CJ올리브영의 해외 판매 플랫폼인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관련 기획전을 열고 전 세계 고객으로 판매 접점을 확대한다.
브랜드별 주력 제품과 진출 희망 국가, 타깃 고객에게 맞춘 마케팅 전략 수립을 돕기 위해 글로벌 사업 부서의 전문 컨설팅도 제공할 계획을 세웠다고 CJ올리브영은 말했다.
8월1~3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CJENM 주최 ‘케이콘 2025’ 기간 CJ올리브영은 행사장 안 자사 부스에 전용 전시 공간을 마련해 해외 K뷰티 팬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장도 열기로 했다.
CJ올리브영은 “우수한 제품력을 갖췄음에도 해외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중소 브랜드가 여전히 많다는 점에 주목해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며 “단기 지원을 넘어 브랜드의 글로벌 안착을 돕고 K뷰티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