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의힘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반도체 첨단산업 육성 대선 공약을 발표했다.
양향자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겸 반도체·AI 첨단산업본부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AI는 두뇌, 반도체는 심장이다. 김문수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가 인프라를 깔고, 민간이 주도하는 도전국가 모델로 세계 AI 주도국으로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며 ‘AI G3 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국민의힘은 우선 차세대 AI 반도체인 뉴로모픽(AI와 뇌 과학의 원리를 접목한 차세대 반도체)·데이터처리가속기(DPU)·신신경망처리장치(NPU)를 국산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와 AMD 등의 의존도에서 탈피해 국산AI 칩이 글로벌 대규모언어모델(LLM) 학습에 쓰이도록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민관 매칭 펀드로 연간 2조 원 규모의 'AI 반도체 혁신펀드'를 조성하고 국내 유망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스타트업에 연구개발(R&D) 및 설비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전국에 'AI 반도체 실증 센터'도 설치해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할 때 쉐어드서비스(Shared service)도 제공한다.
특히 K-OpenAI 프로젝트를 추진 해 3년 내 국산 LLM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네이버·카카오·삼성·LG 등 국내 기업과 민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국산 LLM을 공공 AI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허브를 통해 전면 개방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아울러 'K-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5년간 반도체 산업 3대 핵심축인 팹리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에 집중 투자한다. 여기에 대통령 직속 K-반도체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민관 협의와 예산 배분, 인력 양성 등 전권을 위임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완공 시점을 2030년에서 2028년으로 앞당기겠다고도 공약했다. 인허가 절차를 전면적으로 간소화하고 행정절차 패스트트랙을 운영하면 조기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AI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가 깔고 기업이 뛰는 '하드 인프라 전략'과 데이터 확대와 인재 육성을 골자로 한 '소프트 인프라 전략'도 추진하기로 했다.
'하드 인프라'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기반의 분산형 전력공급 체계를 구축해 AI·반도체 산업 단지에 우선 적용해 24시간 중단 없는 전력 공급을 보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방식의 재생에너지 전략으로는 AI·반도체 산업을 감당할 수 없는 만큼 SMR 기반의 전력공급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소프트 인프라'는 공공 데이터 허브와 AI 핵심 인재 10만 명 육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산업별 공공 최대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체계를 구축해 민간 활용을 확대한다. 또한 AI 인재 트랙, 등록금·생활비·인턴십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졸업 후 취업 연계 및 군 대체복무를 인정해 청년의 관련 직무 진출을 돕는다.
중소·중견기업이 함께 성장해야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하는 만큼 국내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에 '국산 우선구매 인센티브제'도 도입할 계획을 세웠다. 국산 부품 사용 시 세액공제·정부사업 가점 등을 제공하고 공공기관과 대기업에 국산 의무구매 비율을 설정하겠다는 생각다.
이 밖에 '국가 반도체 전략물자 보호법'을 제정해 반도체 핵심 기술을 전략물자로 지정하고 외국 투자와 기술 유출 사전 심사를 강화한다. 반도체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에 대한 국가 사전심사제를 도입해서 외국자본의 기술 흡수를 방지할 계획도 세웠다. 조성근 기자
양향자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겸 반도체·AI 첨단산업본부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AI는 두뇌, 반도체는 심장이다. 김문수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가 인프라를 깔고, 민간이 주도하는 도전국가 모델로 세계 AI 주도국으로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며 ‘AI G3 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오른쪽)가 12일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임명장 수여식에서 양향자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우선 차세대 AI 반도체인 뉴로모픽(AI와 뇌 과학의 원리를 접목한 차세대 반도체)·데이터처리가속기(DPU)·신신경망처리장치(NPU)를 국산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와 AMD 등의 의존도에서 탈피해 국산AI 칩이 글로벌 대규모언어모델(LLM) 학습에 쓰이도록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민관 매칭 펀드로 연간 2조 원 규모의 'AI 반도체 혁신펀드'를 조성하고 국내 유망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스타트업에 연구개발(R&D) 및 설비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전국에 'AI 반도체 실증 센터'도 설치해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할 때 쉐어드서비스(Shared service)도 제공한다.
특히 K-OpenAI 프로젝트를 추진 해 3년 내 국산 LLM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네이버·카카오·삼성·LG 등 국내 기업과 민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국산 LLM을 공공 AI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허브를 통해 전면 개방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아울러 'K-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5년간 반도체 산업 3대 핵심축인 팹리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에 집중 투자한다. 여기에 대통령 직속 K-반도체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민관 협의와 예산 배분, 인력 양성 등 전권을 위임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완공 시점을 2030년에서 2028년으로 앞당기겠다고도 공약했다. 인허가 절차를 전면적으로 간소화하고 행정절차 패스트트랙을 운영하면 조기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AI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가 깔고 기업이 뛰는 '하드 인프라 전략'과 데이터 확대와 인재 육성을 골자로 한 '소프트 인프라 전략'도 추진하기로 했다.
'하드 인프라'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기반의 분산형 전력공급 체계를 구축해 AI·반도체 산업 단지에 우선 적용해 24시간 중단 없는 전력 공급을 보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방식의 재생에너지 전략으로는 AI·반도체 산업을 감당할 수 없는 만큼 SMR 기반의 전력공급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소프트 인프라'는 공공 데이터 허브와 AI 핵심 인재 10만 명 육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산업별 공공 최대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체계를 구축해 민간 활용을 확대한다. 또한 AI 인재 트랙, 등록금·생활비·인턴십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졸업 후 취업 연계 및 군 대체복무를 인정해 청년의 관련 직무 진출을 돕는다.
중소·중견기업이 함께 성장해야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하는 만큼 국내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에 '국산 우선구매 인센티브제'도 도입할 계획을 세웠다. 국산 부품 사용 시 세액공제·정부사업 가점 등을 제공하고 공공기관과 대기업에 국산 의무구매 비율을 설정하겠다는 생각다.
이 밖에 '국가 반도체 전략물자 보호법'을 제정해 반도체 핵심 기술을 전략물자로 지정하고 외국 투자와 기술 유출 사전 심사를 강화한다. 반도체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에 대한 국가 사전심사제를 도입해서 외국자본의 기술 흡수를 방지할 계획도 세웠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