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 10명 가운데 5명은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8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 결과에 대한 의향을 물은 결과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교체)가 53%,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유지)는 36%로 집계됐다. '의견유보'는 11%였다.
'정권교체'와 '정권유지'의 격차는 17%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지역별로 강원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권교체 비율이 높았다. 강원에서는 정권유지가 48%, 정권교체가 38%로 집계됐다. 대구·경북에서는 정권유지 55%, 정권교체 38%였다. 부산·울산·경남(정권유지 41%, 정권교체 47%)에서는 오차범위 안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와 7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정권교체 비율이 높았다. 특히 40대와 50대의 정권교체 비율은 각 71%로 모든 연령을 통틀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70세 이상에선 정권유지가 모든 연령을 통틀어 가장 높은 59%로 집계됐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에서 정권교체(61%) 응답이 정권유지(27%) 응답보다 34%포인트 앞섰다. 보수층에서 정권유지 비율은 71%, 정권교체 비율은 23%로 집계됐다. 진보층에서는 정권유지 비율이 6%, 정권교체 비율이 89%였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6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3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성·연령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성근 기자
한국갤럽이 8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 결과에 대한 의향을 물은 결과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교체)가 53%,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유지)는 36%로 집계됐다. '의견유보'는 11%였다.
![[한국갤럽] 차기대선 놓고 정권교체 53%, 중도층은 정권교체 61%](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4/20250408094446_12576.jpg)
▲ 정권교체를 원하는 비율이 정권연장을 원하는 비율보다 앞선다는 갤럽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
'정권교체'와 '정권유지'의 격차는 17%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지역별로 강원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권교체 비율이 높았다. 강원에서는 정권유지가 48%, 정권교체가 38%로 집계됐다. 대구·경북에서는 정권유지 55%, 정권교체 38%였다. 부산·울산·경남(정권유지 41%, 정권교체 47%)에서는 오차범위 안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와 7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정권교체 비율이 높았다. 특히 40대와 50대의 정권교체 비율은 각 71%로 모든 연령을 통틀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70세 이상에선 정권유지가 모든 연령을 통틀어 가장 높은 59%로 집계됐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에서 정권교체(61%) 응답이 정권유지(27%) 응답보다 34%포인트 앞섰다. 보수층에서 정권유지 비율은 71%, 정권교체 비율은 23%로 집계됐다. 진보층에서는 정권유지 비율이 6%, 정권교체 비율이 89%였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6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3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성·연령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