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직전거래일보다 1.85%(1.32달러) 오른 72.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는 직전거래일보다 1.62%(1.21달러) 상승한 배럴당 75.87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러시아의 1월 산유량이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의 생산 쿼터를 밑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주요 산유국인 러시아의 1월 산유량은 하루 896만2천 배럴로 집계됐다.
OPEC+의 쿼터에 1만6천 배럴 가량 못 미치는 것으로 공급 불안이 생겨나 유가가 올랐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이 러시아 에너지 기업 등에 제재를 가한 점도 공급 불안을 키워 유가를 밀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미국이 1월 러시아 에너지 회사 등에 대해 추가 제재를 가한 가운데 러시아 원유 생산이 줄었다는 소식이 나오자 공급 불안이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환 기자
10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직전거래일보다 1.85%(1.32달러) 오른 72.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미국 텍사스주 미드랜드 카운티에 위치한 석유 시추장비. <연합뉴스>
런던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는 직전거래일보다 1.62%(1.21달러) 상승한 배럴당 75.87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러시아의 1월 산유량이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의 생산 쿼터를 밑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주요 산유국인 러시아의 1월 산유량은 하루 896만2천 배럴로 집계됐다.
OPEC+의 쿼터에 1만6천 배럴 가량 못 미치는 것으로 공급 불안이 생겨나 유가가 올랐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이 러시아 에너지 기업 등에 제재를 가한 점도 공급 불안을 키워 유가를 밀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미국이 1월 러시아 에너지 회사 등에 대해 추가 제재를 가한 가운데 러시아 원유 생산이 줄었다는 소식이 나오자 공급 불안이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