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페이스북에서 T1 유니폼을 입고 응원의 메세지를 보내고 있다. <유경준 페이스북 갈무리>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페이스북에서 “전날(19일) 막을 내린 2023 LoL 월드챔피언십에서 T1이 중국 WBG를 3-0으로 완파하고 4회 우승의 금자탑을 쌓아 올렸다"며 "우리는 지금 페이커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자신이 발의한 ‘e스포츠 운영비 세액공제 확대 법안’이 이번주 열리는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에서 심사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e스포츠가 전 세계적으로 두각을 보이는 가운데 e스포츠와 관련된 게임은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신성장·원천기술이 집약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e스포츠 관련 전문종목의 다양성 부족과 재정적 부담으로 e스포츠 게임단이 자주 해체되는 등 산업 생태계가 열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행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은 e스포츠 경기부를 설치·운영하는 기업의 법인세를 감면하는 조세특례를 둬 e스포츠 경기부를 설치한 뒤 3년 동안 운영비용의 10%를 법인세에서 공제하도록 하고 있다.
유 의원이 2022년 7월 발의한 개정안은 e스포츠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법인세 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운영비용의 20%를 5년 동안 공제하고 e스포츠 대회를 운영하는 기업은 e스포츠 대회의 운영에 소요된 비용의 20%를 5년 동안 법인세에서 공제하도록 한다.
국회예산정책처의 비용추계에 따르면 해당 법안이 시행됐을 때 향후 5년 동안 644억 원, 연평균 129억 원의 세수가 감소한다.
하지만 유 의원은 한국콘텐츠진흥원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했을 때 과세 특례로 e스포츠 게임단 운영 부담이 줄어들면 매년 16.7개의 게임단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유 의원은 “항저우 아시안게임 전 종목 메달 획들에 이어 ‘롤드컵’ 우승까지 대한민국의 e스포츠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서 종주국의 위상을 떨치고 있다”며 “세대, 성별, 국적을 뛰어넘는 대한민국 e스포츠가 종주국의 위치를 지킬 수 있도록 이제 국회가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