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상호금융권 전세대출 규모가 최근 3년 사이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과 축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의 전세대출 규모는 3월 말 기준 3조6540조 원으로 집계됐다. 3년 전 1조8820억 원에서 2배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규모도 88조2867억 원에서 114조7165억 원으로 약 3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과 고금리의 여파로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조금 줄었다지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호금융권의 전세자금대출은 지난해 9월 말 3조8536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주춤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도 지난해 말 115조4713억 원에서 3월 말 114조7165억 원으로 감소했다.
상호금융권은 최근 들어 연체율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상호금융권 전체 연체율은 3월 말 기준 2.42%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1%대를 유지했지만 3월 말 2%대로 올라섰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고 경기 둔화로 부동산 리스크 증가가 건전성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호금융권 대출 규모는 국내 전체 부동산 대출시장과 비교했을 때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상호금융권의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은행권과 비교하면 각각 2%, 1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상승에 따라 다음 주 주요 회사에 감독·검사 인력을 파견해 연체채권 관리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상호금융은 농·축·수·신협, 새마을금고의 각 조합을 통해 제한된 형태의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상호금융기관은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은행보다 이자율이 높아 예금에는 유리하지만 대출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아 불리하다고 여겨진다. 이준희 기자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과 축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의 전세대출 규모는 3월 말 기준 3조6540조 원으로 집계됐다. 3년 전 1조8820억 원에서 2배가량 늘었다.

▲ 상호금융권 전세대출 규모가 최근 3년 동안 2배로 늘었다. <연합뉴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규모도 88조2867억 원에서 114조7165억 원으로 약 3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과 고금리의 여파로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조금 줄었다지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호금융권의 전세자금대출은 지난해 9월 말 3조8536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주춤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도 지난해 말 115조4713억 원에서 3월 말 114조7165억 원으로 감소했다.
상호금융권은 최근 들어 연체율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상호금융권 전체 연체율은 3월 말 기준 2.42%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1%대를 유지했지만 3월 말 2%대로 올라섰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고 경기 둔화로 부동산 리스크 증가가 건전성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호금융권 대출 규모는 국내 전체 부동산 대출시장과 비교했을 때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상호금융권의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은행권과 비교하면 각각 2%, 1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상승에 따라 다음 주 주요 회사에 감독·검사 인력을 파견해 연체채권 관리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상호금융은 농·축·수·신협, 새마을금고의 각 조합을 통해 제한된 형태의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상호금융기관은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은행보다 이자율이 높아 예금에는 유리하지만 대출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아 불리하다고 여겨진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