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다만 임금인상률을 놓고 서로 간에 의견차이가 커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14일 삼성전자 노조에 따르면 이날 노조 측 대표와 사측 대표가 지난 2일에 이어 다시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삼성전자 노조는 2일 열린 본교섭에서 입장차이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노조에 기본인상률(베이스업)을 1%대로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는 임금인상률을 책정할 때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본인상률과 직책과 개인별 업무고과에 따른 성과인상률을 나누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역대 최고수준인 기본인상률 5%, 성과인상률 4% 등 9%의 인상률을 적용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와 실적 부진을 이유로 지난해보다 낮은 인상률을 적용하자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노조는 올해 임금인상률을 10%로 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워두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재충전 휴가 7일과 창립기념일에 휴업, 노조창립일 축하금 등을 함께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조장우 기자
다만 임금인상률을 놓고 서로 간에 의견차이가 커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 삼성전자 노사가 14일 임금인상률을 놓고 협상을 재개한 것으로 파악된다. 사진은 삼성전자 본사 앞 로고 모습. <연합뉴스>
14일 삼성전자 노조에 따르면 이날 노조 측 대표와 사측 대표가 지난 2일에 이어 다시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삼성전자 노조는 2일 열린 본교섭에서 입장차이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노조에 기본인상률(베이스업)을 1%대로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는 임금인상률을 책정할 때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본인상률과 직책과 개인별 업무고과에 따른 성과인상률을 나누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역대 최고수준인 기본인상률 5%, 성과인상률 4% 등 9%의 인상률을 적용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와 실적 부진을 이유로 지난해보다 낮은 인상률을 적용하자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노조는 올해 임금인상률을 10%로 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워두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재충전 휴가 7일과 창립기념일에 휴업, 노조창립일 축하금 등을 함께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