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심리가 확산된 데다가 러시아가 동유럽 3개국에 석유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점이 증시에 악영향을 끼쳤다.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하향 조정도 투자심리를 약화시켰다.
9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8.13포인트(0.18%) 내린 3만2774.41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7.59포인트(0.42%) 낮은 4122.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0.53포인트(1.19%) 떨어진 1만2493.93에 장을 끝냈다.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잇따른 실적 전망치 하향 발표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전날보다 137.44포인트(4.57%) 하락한 2866.90에 장을 끝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한국 시간으로 10일 밤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I가 지난해 7월 대비 8.7% 정도 증가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6월 증가율(9.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지수는 6.1% 정도 오를 것이란 전망치를 내놨는데 이는 6월(5.9%)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번 소비자물가지수 결과에 따라 9월로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여부도 가늠해볼 수 있다.
미국의 전미자영업연맹(NFIB) 7월 소기업 낙관지수는 89.9로 집계됐다. 지난달(89.5)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지만 여전히 지난 48년 평균치(98)을 밑도는 수준이다.
NFIB도 인플레이션 공급망 차질에 대응하고는 있으나 소기업 부문의 불확실성을 재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러시아 국영 송유관 업체인 트란스네프트는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드루즈바 송유관 석유 운송이 5일 전에 중단됐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는 드루즈바 송유관을 통해 하루에 약 25만 배럴을 중부 유럽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 등 동유럽 국가 3곳에 러시아산 석유 공급이 끊겼다.
트란스네프트 측은 선결제를 위해 지난달 우크라이나에 보낸 송유관 사용료가 반환됐다고 설명했는데 유럽연합(EU)의 금융제재로 우크라이나 측 송유관 업체에 대금을 지불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EU의 금융제재 때문에 동유럽 국가에 석유공급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미다.
앞서 러시아는 가스관 수리를 이유로 유럽향 천연가스 공급량도 크게 줄인 바 있다.
미국 뉴욕증시 하락에는 기업들의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영향도 컸다.
전날 엔디비아가 실적 전망치를 17% 하향 조정한 것을 시작으로 이날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도 "거시경제적 요인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지난 6월 말 실적 발표에 제시한 매출 전망치의 하단을 밑돌거나 그 수준으로 나올 것이다"고 예고했다.
이날 주요 반도체 기업인 엔디비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AMD의 주가는 각각 3.97%, 3.74%, 4.53% 떨어졌다.
업종별 주가 등락률을 살펴보면 에너지(1.8%), 유틸리티(1.1%), 부동산(0.7%) 업종이 강세를 보였고 통신(-0.7%), 정보통신기술(IT)(-1.0%), 경기소비재(-1.5%)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김서아 기자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심리가 확산된 데다가 러시아가 동유럽 3개국에 석유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점이 증시에 악영향을 끼쳤다.

▲ 9일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전날 대비 4% 넘게 떨어졌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 <연합뉴스>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하향 조정도 투자심리를 약화시켰다.
9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8.13포인트(0.18%) 내린 3만2774.41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7.59포인트(0.42%) 낮은 4122.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0.53포인트(1.19%) 떨어진 1만2493.93에 장을 끝냈다.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잇따른 실적 전망치 하향 발표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전날보다 137.44포인트(4.57%) 하락한 2866.90에 장을 끝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한국 시간으로 10일 밤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I가 지난해 7월 대비 8.7% 정도 증가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6월 증가율(9.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지수는 6.1% 정도 오를 것이란 전망치를 내놨는데 이는 6월(5.9%)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번 소비자물가지수 결과에 따라 9월로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여부도 가늠해볼 수 있다.
미국의 전미자영업연맹(NFIB) 7월 소기업 낙관지수는 89.9로 집계됐다. 지난달(89.5)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지만 여전히 지난 48년 평균치(98)을 밑도는 수준이다.
NFIB도 인플레이션 공급망 차질에 대응하고는 있으나 소기업 부문의 불확실성을 재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러시아 국영 송유관 업체인 트란스네프트는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드루즈바 송유관 석유 운송이 5일 전에 중단됐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는 드루즈바 송유관을 통해 하루에 약 25만 배럴을 중부 유럽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 등 동유럽 국가 3곳에 러시아산 석유 공급이 끊겼다.
트란스네프트 측은 선결제를 위해 지난달 우크라이나에 보낸 송유관 사용료가 반환됐다고 설명했는데 유럽연합(EU)의 금융제재로 우크라이나 측 송유관 업체에 대금을 지불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EU의 금융제재 때문에 동유럽 국가에 석유공급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미다.
앞서 러시아는 가스관 수리를 이유로 유럽향 천연가스 공급량도 크게 줄인 바 있다.
미국 뉴욕증시 하락에는 기업들의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영향도 컸다.
전날 엔디비아가 실적 전망치를 17% 하향 조정한 것을 시작으로 이날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도 "거시경제적 요인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지난 6월 말 실적 발표에 제시한 매출 전망치의 하단을 밑돌거나 그 수준으로 나올 것이다"고 예고했다.
이날 주요 반도체 기업인 엔디비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AMD의 주가는 각각 3.97%, 3.74%, 4.53% 떨어졌다.
업종별 주가 등락률을 살펴보면 에너지(1.8%), 유틸리티(1.1%), 부동산(0.7%) 업종이 강세를 보였고 통신(-0.7%), 정보통신기술(IT)(-1.0%), 경기소비재(-1.5%)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