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감사대상 법인기업 2만6880곳의 매출액 증가율은 17.7%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3.6%에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며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한국은행은 “수요 회복과 수출 호조 등으로 매출액 증가율이 큰 폭의 증가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매출액 증가율을 살펴보면 제조업은 2020년 –3.6%에서 2021년 19.7%로 전환됐다. 전자·영상·통신장비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
비제조업도 2020년 –2.6%에서 2021년 15.3%로 개선됐다. 도매·소매업,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익성 지표도 개선됐다.
제품가격의 상승 등이 수익성 지표의 개선을 이끌었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0년 5.1%에서 2021년 6.8%로 높아졌고 매출액세전순이익도 2020년 4.4%에서 2021년 7.7%로 상승했다. 두 지표 모두 관련 통계를 측정한 이래 역대 최고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전기·영상·통신장비, 비제조업은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이 모두 상승했다. 조승리 기자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감사대상 법인기업 2만6880곳의 매출액 증가율은 17.7%로 집계됐다.

▲ 한국은행 로고.
이는 2020년 –3.6%에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며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한국은행은 “수요 회복과 수출 호조 등으로 매출액 증가율이 큰 폭의 증가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매출액 증가율을 살펴보면 제조업은 2020년 –3.6%에서 2021년 19.7%로 전환됐다. 전자·영상·통신장비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
비제조업도 2020년 –2.6%에서 2021년 15.3%로 개선됐다. 도매·소매업,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익성 지표도 개선됐다.
제품가격의 상승 등이 수익성 지표의 개선을 이끌었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0년 5.1%에서 2021년 6.8%로 높아졌고 매출액세전순이익도 2020년 4.4%에서 2021년 7.7%로 상승했다. 두 지표 모두 관련 통계를 측정한 이래 역대 최고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전기·영상·통신장비, 비제조업은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이 모두 상승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