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반도체 부족에 따른 자동차업계의 매출손실규모가 11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CNBC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컨설팅업체인 알릭스파트너스는 반도체 부족으로 올해 세계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 규모가 390만 대, 매출손실은 1010억 달러(약 113조968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알릭스파트너스는 1월 세계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과 매출 손실 규모를 220만 대, 610억 달러로 분석했다.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과 손실이 막대한 원인으로 일본 도쿄 인근 반도체공장의 화재, 미국 텍사스주 홍수, 대만 가뭄 등으로 반도체 생산에 어려움이 생긴 점이 꼽혔다.
다만 알릭스파트너스는 반도체 부족에 따른 생산차질이 2분기에 정점을 찍고 하반기부터는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바라봤다.
알릭스파트너스는 내년에도 반도체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자동차업체에서 차량을 생산할 수 있을 정도의 공급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
14일 CNBC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컨설팅업체인 알릭스파트너스는 반도체 부족으로 올해 세계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 규모가 390만 대, 매출손실은 1010억 달러(약 113조968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 차량용 반도체. <연합뉴스>
알릭스파트너스는 1월 세계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과 매출 손실 규모를 220만 대, 610억 달러로 분석했다.
자동차업계의 생산차질과 손실이 막대한 원인으로 일본 도쿄 인근 반도체공장의 화재, 미국 텍사스주 홍수, 대만 가뭄 등으로 반도체 생산에 어려움이 생긴 점이 꼽혔다.
다만 알릭스파트너스는 반도체 부족에 따른 생산차질이 2분기에 정점을 찍고 하반기부터는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바라봤다.
알릭스파트너스는 내년에도 반도체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자동차업체에서 차량을 생산할 수 있을 정도의 공급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