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이 이뤄지기까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신지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합병을 하면 얼라이언스(동맹체)와 선박재배치 문제 등 운영적 측면과 자금, 정부 지원 정도, 합병 방법, 지주회사, 행위요건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
||
▲ 조양호(왼쪽) 한진그룹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
중국 정부는 세계 해운업계 6,7 위인 국영 대형 컨테이너선사인 COSCO와 CSCL이 영업손실을 내자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신 연구원은 "전반적으로 두 회사의 합병은 당연한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다"며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은 자체 영업현금흐름만으로 이자비용, 공모사채 만기상환, 선박관련 연불채무 상환 등 현금소요를 충당하기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신 연구원에 따르면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연간 영업이익으로 각각 5900억 원, 5700억 원을 내야 현금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
그러나 한진해운은 올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 2249억 원, 현대상선은 2분기까지 589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해운업황이 단기적으로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 점도 두 회사의 합병설이 나오는 배경이다.
컨테이너 운임이 9월 뒤 급격하게 떨어졌고 내년에도 수요보다 공급증가가 더 커 운임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형 해운회사들이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계속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등 글로벌 경기회복이 예상된다고 해도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폭이 예전만큼 돌아가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