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이 수주잔고를 쌓아 향후 3년 이상 실적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19일 “금호산업이 풍부한 수주잔고(6조6천억 원)에 따른 매출액 증가를 바탕으로 최소 3년 이상 영업이익이 고속성장할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 매각 불확실성이 종료되면 주가 반등도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금호산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790억 원, 영업이익 79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1.3%, 영업이익은 42.4% 늘어나는 것이다.
실적 증가는 주택사업이 이끌 것으로 분석됐다.
금호산업은 올해 6579세대의 주택을 분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25.2% 증가하는 것이다.
백 연구원은 “올해 주택사업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63.5% 늘어날 것”이라며 “주택 실적 호조에 힘입어 올해 금호산업 영업이익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금호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백 연구원은 “매각이 무산돼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이 ‘플랜B’로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금호산업에 불리한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 매각 차익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실적이 크게 개선돼 실적 증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19일 “금호산업이 풍부한 수주잔고(6조6천억 원)에 따른 매출액 증가를 바탕으로 최소 3년 이상 영업이익이 고속성장할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 매각 불확실성이 종료되면 주가 반등도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 서재환 금호산업 대표이사 사장.
금호산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790억 원, 영업이익 79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1.3%, 영업이익은 42.4% 늘어나는 것이다.
실적 증가는 주택사업이 이끌 것으로 분석됐다.
금호산업은 올해 6579세대의 주택을 분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25.2% 증가하는 것이다.
백 연구원은 “올해 주택사업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63.5% 늘어날 것”이라며 “주택 실적 호조에 힘입어 올해 금호산업 영업이익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금호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백 연구원은 “매각이 무산돼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이 ‘플랜B’로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금호산업에 불리한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 매각 차익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실적이 크게 개선돼 실적 증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