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코로나19 사태로 영업활동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는 데다 나보타 관련 소송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있다는 점이 반영됐다.
 
대웅제약 목표주가 낮아져, "영업위축에 나보타 소송도 불확실"

▲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사 사장.


김슬 삼성증권 연구원은 13일 대웅제약 목표주가를 18만 원에서 12만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12일 대웅제약 주가는 9만1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로 대부분 의료기관이 제약사 영업직원을 포함한 방문객을 제한하면서 영업직원들의 의료기관 대면영업활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더불어 병원 방문환자 수도 감소하면서 대웅제약의 제약 본업가치가 10%가량 떨어질 것”이라고 봤다.

대웅제약과 메디톡스가 벌이고 있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소송이 6월 예비판정과 10월 최종판정을 남겨두고 있다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혔다.

김 연구원은 “현재 대웅제약 주가는 최악의 결과를 가정하고 있지만 두 회사가 소송으로 이미 많은 힘을 소진했으며 과거 15년 동안 관세법 337조 관련 소송의 50% 이상은 합의 또는 취하로 종결되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다”며 “6월 예비판정으로 주가가 다시 오를 수 있을지 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라고 봤다.

두 회사가 합의해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에 로열티를 주기로 한다면 나보타 가치는 6775억 원가량으로 추정됐다. 대웅제약이 나보타 판매로 얻는 수익이 20%가량 줄어들겠지만 주가 상승여력은 생길 것으로 예상됐다.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와 소송에서 승소하면 나보타 가치는 1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기존처럼 미국에서 나보타를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대웅제약의 주가도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만약 대웅제약이 패소한다면 미국에서 나보타를 팔 수 없게 돼 주가는 현재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때 나보타 가치는 4천억 원 수준으로 추산됐다.

대웅제약은 별도기준으로 올해 매출 1조469억 원, 영업이익 48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4.2%, 영업이익은 53.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