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100)로 잠정집계됐다. 8월보다 0.4% 상승했다.
8월 SK텔레콤의 요금 인하 영향으로 하락전환한 지 한 달 만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가격이 뛴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 물가가 8월보다 0.4% 높아졌다.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물가가 올랐다.
9월 화학제품(0.5%) 및 1차금속제품(0.7%) 등을 중심으로 공산품 물가도 전월보다 0.2%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 물가지수는 1.1% 높아졌다.
서비스물가도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4.0%), 금융및보험서비스(1.4%) 등이 오르면서 8월보다 0.4% 상승했다.
세부품목별로 살펴보면 상추(38.9%) 쇠고기(6.9%) 쌀(4.7%) 돼지고기(3.3%)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올랐다. 반면 조기(-16.1%) 기타어류(-39.8%) 등 수산물 물가는 내렸다.
이밖에 이동통신서비스(35.6%)는 8월 SK텔레콤의 통신요금 인하 기저효과로 크게 상승했다. 주택용전력(14.4%) 산업용도시가스(5.8%)도 올랐다.
9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0.1% 상승했다. 원재료(-1.4%)는 하락했고 중간재(0.2%) 최종재(0.3%)는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을 더한 총산물물가지수는 1개월 전과 비교해 0.4% 높아졌다. 박혜린 기자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100)로 잠정집계됐다. 8월보다 0.4% 상승했다.

▲ 2025년 9월 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채소 코너. <연합뉴스>
8월 SK텔레콤의 요금 인하 영향으로 하락전환한 지 한 달 만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가격이 뛴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 물가가 8월보다 0.4% 높아졌다.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물가가 올랐다.
9월 화학제품(0.5%) 및 1차금속제품(0.7%) 등을 중심으로 공산품 물가도 전월보다 0.2%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 물가지수는 1.1% 높아졌다.
서비스물가도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4.0%), 금융및보험서비스(1.4%) 등이 오르면서 8월보다 0.4% 상승했다.
세부품목별로 살펴보면 상추(38.9%) 쇠고기(6.9%) 쌀(4.7%) 돼지고기(3.3%)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올랐다. 반면 조기(-16.1%) 기타어류(-39.8%) 등 수산물 물가는 내렸다.
이밖에 이동통신서비스(35.6%)는 8월 SK텔레콤의 통신요금 인하 기저효과로 크게 상승했다. 주택용전력(14.4%) 산업용도시가스(5.8%)도 올랐다.
9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0.1% 상승했다. 원재료(-1.4%)는 하락했고 중간재(0.2%) 최종재(0.3%)는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을 더한 총산물물가지수는 1개월 전과 비교해 0.4% 높아졌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