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장애인도 자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문체부와 콘진원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장애 유형별 게임 접근성 개선 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게임 산업계, 학계, 협회·단체 전문가, 장애인단체 등과의 논의를 거쳐 안내서를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안내서는 2021년에 개정된 ‘콘텐츠산업진흥법’ 제26조에 따라 장애인의 콘텐츠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요 내용은 △시각 기능 △청각 기능 △운동 기능 △인지 기능 등, 장애유형별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능 및 개발 참고 사항 등이다.
실제 게임 개발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기능별 사례를 보여주는 시각자료를 최대한 활용했다. 플랫폼별·장애 유형별로 게임 이용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들을 구분했으며 해외 협회·단체에서 제시하는 국제 수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했다.
콘진원 산하 게임인재원과 한국콘텐츠아카데미의 교육과정에 해당 내용이 포함된다. 또 2026년부터는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 등 콘진원 지원사업에 신청하는 게임사가 이번 안내서의 내용을 적용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안내서가 장애인들도 제약 없이 자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외에도 장애인들에게 게임이 단순한 오락이 아닌 문화를 누리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문체부와 콘진원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장애 유형별 게임 접근성 개선 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게임 산업계, 학계, 협회·단체 전문가, 장애인단체 등과의 논의를 거쳐 안내서를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 문체부와 콘진원이 장애 유형별 게임 접근성 개선 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21일 '게임접근성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이번 안내서는 2021년에 개정된 ‘콘텐츠산업진흥법’ 제26조에 따라 장애인의 콘텐츠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요 내용은 △시각 기능 △청각 기능 △운동 기능 △인지 기능 등, 장애유형별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능 및 개발 참고 사항 등이다.
실제 게임 개발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기능별 사례를 보여주는 시각자료를 최대한 활용했다. 플랫폼별·장애 유형별로 게임 이용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들을 구분했으며 해외 협회·단체에서 제시하는 국제 수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했다.
콘진원 산하 게임인재원과 한국콘텐츠아카데미의 교육과정에 해당 내용이 포함된다. 또 2026년부터는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 등 콘진원 지원사업에 신청하는 게임사가 이번 안내서의 내용을 적용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안내서가 장애인들도 제약 없이 자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외에도 장애인들에게 게임이 단순한 오락이 아닌 문화를 누리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