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패션 전문기업 한섬의 온라인 부문 거래액이 올해 처음으로 4천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한섬을 운영하는 현대백화점그룹은 20일 온라인 부문 거래액이 5년 만에 6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섬은 패션업계 전반의 장기 침체 속에서도 온라인 부문이 성장세를 유지한 배경으로 △온라인 전용 자동화 물류센터 구축 등 투자 확대 △고객층별 전문몰 운영 전략 △2030세대를 겨냥한 신규 온라인 편집숍 ‘EQL’의 시장 안착 등을 꼽았다.
특히 2022년 약 500억 원을 투입해 설립한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스마트허브 e비즈’가 물류 효율화에 기여했다고 한섬은 설명했다. 스마트허브 e비즈는 국내 패션업계 최초의 온라인 전용 자동화 물류센터로 연간 약 1100만 건의 처리 물량을 갖췄다.
한섬에 따르면 해당 센터 가동 이후 주문 처리 시간은 절반 가까이 단축됐다. 무인운반로봇 등 자동화 설비 도입으로 오배송률도 80% 이상 감소했다.
여유정 한섬 온라인담당 상무는 “국내 온라인 패션 시장은 글로벌 패션 기업 진출 등으로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 선보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예원 기자
한섬을 운영하는 현대백화점그룹은 20일 온라인 부문 거래액이 5년 만에 6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한섬 온라인 사업 10주년 팝업 매장. <한섬>
한섬은 패션업계 전반의 장기 침체 속에서도 온라인 부문이 성장세를 유지한 배경으로 △온라인 전용 자동화 물류센터 구축 등 투자 확대 △고객층별 전문몰 운영 전략 △2030세대를 겨냥한 신규 온라인 편집숍 ‘EQL’의 시장 안착 등을 꼽았다.
특히 2022년 약 500억 원을 투입해 설립한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스마트허브 e비즈’가 물류 효율화에 기여했다고 한섬은 설명했다. 스마트허브 e비즈는 국내 패션업계 최초의 온라인 전용 자동화 물류센터로 연간 약 1100만 건의 처리 물량을 갖췄다.
한섬에 따르면 해당 센터 가동 이후 주문 처리 시간은 절반 가까이 단축됐다. 무인운반로봇 등 자동화 설비 도입으로 오배송률도 80% 이상 감소했다.
여유정 한섬 온라인담당 상무는 “국내 온라인 패션 시장은 글로벌 패션 기업 진출 등으로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 선보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예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