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도 대미 투자액 3500억 달러 선불이 어려운 점을 이해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설득 여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의 IMF(국제통화기금) 본부에서 취재진과 만나 “미국의 (대미투자액) 선불 요구는 이행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해시킨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경제부총리 구윤철 "미국 3500억 달러 선불 불가능 이해, 트럼프 설득 미지수"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의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특파원단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대미 투자액을) 선불로 지급할 경우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우리가 일본처럼 한꺼번에 출자하는 것은 힘들다는 점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지금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전날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다만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센트 장관이 한국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대미 투자액 선지급이 어렵다는 우리 정부의 생각을 받아들일 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내놨다.  

그는 “베선트·러트닉 장관이 선불 지급이 불가능함을 이해했다 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을 이해시키지 못하면 (협상 타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베선트 장관을 만나 계속 설득·강조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미 통화스와프 협상과 관련해서는 관세협상의 핵심적 사안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외환시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차원의 문제라고 바라봤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내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 의장이었다면 이미 체결했을 것”이라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에 긍정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구 부총리는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모든 게 해결될 것처럼 말하는데 그게 아니다”라며 “지금 협상은 러트닉 장관과 하는 것이 본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어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이 대미투자 방식에 합의하면 그에 따라 소요되는 외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해야 할지, 한다면 얼마나 해야 할지 등이 결정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