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 날을 세웠다.
오 시장은 1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체’에서 “정부 부동산 안정화 대책 발표로 분담금, 이주 등의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 자치구 등이 호흡을 맞춰 도시정비사업 속도를 더디게 하는 요소들을 최소화해 주민들이 원하는 시점에 입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소속 주민대표들과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정비사업연합회는 정부가 집값 안정, 투기방지보다 일부 시민의 열악한 주거환경 현실을 충분히 고민했어야 한다고 전달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6년6개월 줄이는 등 주택공급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서울은 신규주택을 꾸준히 공급해야 시장이 안정화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수연 기자
오 시장은 1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체’에서 “정부 부동산 안정화 대책 발표로 분담금, 이주 등의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 오 시장이 1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체’에서 “정부 부동산 안정화 대책 발표로 분담금, 이주 등의 문제를 비롯해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 자치구 등이 호흡을 맞춰 도시정비사업 속도를 더디게 하는 요소들을 최소화해 주민들이 원하는 시점에 입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소속 주민대표들과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정비사업연합회는 정부가 집값 안정, 투기방지보다 일부 시민의 열악한 주거환경 현실을 충분히 고민했어야 한다고 전달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6년6개월 줄이는 등 주택공급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서울은 신규주택을 꾸준히 공급해야 시장이 안정화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