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이 노동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장근로 임금을 낮추고 정규근로 임금을 높이는 등 효율적으로 짧게 일하는 것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
 
KDI "근로시간 짧은 나라일수록 시간당 부가가치 산출 높아"

▲ 1일 한국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1990~2016년 35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근로시간과 근로시간당 부가가치 산출(GDP)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근로시간이 짧은 국가일수록 시간당 부가가치 산출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또 2004~2011년 단계적으로 주40시간 근무제를 도입하면서 10인 이상 제조업 사업체 1만1692곳의 노동생산성이 1.5% 증가했다.

주40시간 근무제 도입 이전에 이미 평균 정규 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곳에서는 노동생산성 증대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40시간 이상인 곳에서는 생산성이 2.1%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근로시간이 비효율적 수준으로 과도했을 가능성을 지적하며 비효율적 연장근로를 유도하는 제도를 바로잡는 방향으로 근로시간 단축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KDI는 “근로시간 및 연장근로 임금 할증에 대한 법적 불명확성을 정비해야 할 것”이라며 “비효율적으로 오래 일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짧게 일하는 것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