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보합세를 보였다. 다만 강남의 고가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4월25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이 보합세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국 아파트값도 3주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다.
서울 아파트값은 1월 넷째 주부터 10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4월 들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이어 0.01% 떨어지며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은 대다수 지역은 약세를 보인 가운데 일부 고가주택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특히 서초구(0.05%)의 상승률이 서울에서 가장 높았는데 반포·방배동 인기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의 경우 전용면적 129m²가 64억 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강남구(0.03%) 역시 대치·도곡동 중대형 위주로 거래됐다. 도곡렉슬아파트의 전용 176m²는 58억 원에 매매됐는데 2020년 6월의 43억 원에 비해 15억 원이나 오른 가격이다.
강북권에서는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는 용산구(0.03%)의 상승세가 지속된 반면 성북구(-0.03%), 도봉구(-0.02%), 노원구(-0.01%) 등은 대체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한국부동산원은 “6월1일 보유세 기산일을 앞둔 급매물이 출현하고 추가 금리인상 우려로 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해 대다수는 약보합세를 보였다”며 “일부 재건축 및 초고가 단지는 상승하며 서울은 4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서울 전세시장은 13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강북권은 매물이 감소하며 보합으로 전환했다.
노원구(0.02%), 성동구(0.01%), 동대문구(0.01%), 중랑구(0.01%) 등이 상승세로 돌아서며 강북 전체가 지난주 하락에서 보합으로 돌아섰다.
반면 은평구(-0.04%)와 종로구(-0.03%)는 하락세가 이어졌다.
강남에서는 서초구와 강동구가 보합으로 전환됐고 강남구(-0.01%)와 송파구(-0.01%)는 하락을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은 “강북권 일부 지역은 입주물량이 줄어 상승했지만 높은 전세가와 대출금리 부담으로 대체로 수요가 감소하며 서울 전세시장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민규 기자
한국부동산원은 4월25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이 보합세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국 아파트값도 3주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다.

▲ 전국 아파트값 매매가격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서울 아파트값은 1월 넷째 주부터 10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4월 들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이어 0.01% 떨어지며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은 대다수 지역은 약세를 보인 가운데 일부 고가주택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특히 서초구(0.05%)의 상승률이 서울에서 가장 높았는데 반포·방배동 인기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의 경우 전용면적 129m²가 64억 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강남구(0.03%) 역시 대치·도곡동 중대형 위주로 거래됐다. 도곡렉슬아파트의 전용 176m²는 58억 원에 매매됐는데 2020년 6월의 43억 원에 비해 15억 원이나 오른 가격이다.
강북권에서는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는 용산구(0.03%)의 상승세가 지속된 반면 성북구(-0.03%), 도봉구(-0.02%), 노원구(-0.01%) 등은 대체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한국부동산원은 “6월1일 보유세 기산일을 앞둔 급매물이 출현하고 추가 금리인상 우려로 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해 대다수는 약보합세를 보였다”며 “일부 재건축 및 초고가 단지는 상승하며 서울은 4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서울 전세시장은 13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강북권은 매물이 감소하며 보합으로 전환했다.
노원구(0.02%), 성동구(0.01%), 동대문구(0.01%), 중랑구(0.01%) 등이 상승세로 돌아서며 강북 전체가 지난주 하락에서 보합으로 돌아섰다.
반면 은평구(-0.04%)와 종로구(-0.03%)는 하락세가 이어졌다.
강남에서는 서초구와 강동구가 보합으로 전환됐고 강남구(-0.01%)와 송파구(-0.01%)는 하락을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은 “강북권 일부 지역은 입주물량이 줄어 상승했지만 높은 전세가와 대출금리 부담으로 대체로 수요가 감소하며 서울 전세시장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