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이 가계부채 문제의 적절한 해결책이 되기 위해서는 은행 자율이 아니라 금융당국이 주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KB국민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실질 DSR를 적용한 올해 4월17일∼6월12일 가계 대출승인 및 거절 비율’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을 도입하지 않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대출승인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
금융위원회는 올해부터 금융회사들이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을 활용한 여신심사모형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시범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은행 가운데 가장 먼저 이를 적용해 대출심사에 활용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최근 두달 동안 신용대출에 실질 총체적상환능력비율 250~300%로 대출한도를 적용해 대출신청 5만2902건 가운데 3만7898건(71.6%)을 승인했다.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6만2153건 가운데 4만4964건(72.3%)을 승인한 것과 비교하면 승인비율은 0.7%포인트 낮아졌다.
총체적상환능력비율 300~400%가 적용된 가계 부동산 담보대출의 승인율도 96.1%로 지난해 같은 기간(96.7%)보다 0.6%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박 의원은 KB국민은행의 총체적상환능력비율 도입이 효과가 없었던 것은 기준이 느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KB국민은행은 느슨한 총체적상환능력비율로 사실상 기존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다름없는 대출 운영을 하며 명분과 수익을 모두 챙겨왔다”며 “막무가내식 총체적상환능력비율 도입보다는 제대로 된 모형을 설계·운영하는 것이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총체적상환능력비율 관리를 사실상 은행 자율로 맡겼지만 은행 스스로 엄격한 잣대를 제시하기 어렵다”며 “실질적인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서는 금융위원회가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