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완성차 글로벌 점유율 22%, "신흥국 및 전기차 공략 먹혔다"

▲ BYD 대표 프리미엄 모델 양왕(Yangwang) U8. < BYD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계 완성차 브랜드의 글로벌 점유율이 신흥국 및 전기차 시장 공략에 힘입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5일 발간한 ‘중국 자동차 글로벌 진출 동향’ 보고서를 통해 중국 완성차 업계가 신흥국을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 및 생산 거점을 넓히며 지난해 글로벌 점유율 22.0%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국 완성차 업체들은 거대 내수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장악하며 성장 기반을 확보했고, 내수 경쟁 심화와 과잉 생산능력 해소를 위해 공격적으로 해외 진출 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가격 경쟁력과 전기차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역별로는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 중남미, 아세안, 중동 등 신흥국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고, 유럽 선진시장에서도 전기차를 중심으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러시아·CIS는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글로벌 브랜드들이 철수하자 중국계 브랜드들이 이 공백을 메우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다만 러시아 정부의 재활용(폐차) 수수료 및 수입 관세 인상, 현지 부품 사용 비율 의무화 등으로 추가 확대는 제한될 수 있다고 KAMA는 전망했다.

중남미·ASEAN·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는 ‘가성비’ 모델과 현지 조립·생산 투자 결합 전략으로 가격·공급 우위를 강화하고 있으며, 유럽·대양주에서도 관세·보조금 축소 등 제약에도 전기차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차종별로는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계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진다.

올해 3분기 기준 중남미 전기차 판매의 88.2%를 중국계 브랜드가 차지했고,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중국계가 사실상 현지 전기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년 상반기 유럽 28개국의 중국계 전기차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1% 증가했고, 제토·니오 등 신규 브랜드 진입과 샤오펑·BYD의 현지 생산이 본격화되며 성장 여력이 늘어날 전망이다.

보고서는 중국 자동차의 글로벌 판매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과제도 제시했다. 우선 신흥국에서의 중국계 급부상으로 한국계의 입지 약화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정부 간 통상 대화를 강화해 현지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신흥국 구매력 상승이 글로벌 신차 수요 확대의 핵심 동력인만큼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등 전방위 협력을 통해 수출 기반을 튼튼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수출시장 다변화 과정에서 중국 완성차 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이 불가피해지면서 국내 생산기반 유지와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한 세제 지원 등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올해 3분기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6.6% 감소했지만 유럽·남미·아프리카 수출 증가가 일부 버팀목이 됐다. 다만 해당 지역에서도 중국계 브랜드와의 경합이 빠르게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첨언했다.

보고서는 중국 자동차의 글로벌 판매 확대에 따라 현지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전략, 국내 생산 기반 유지 및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샤오미·화웨이 등 IT 기업 가세로 중국 내수 경쟁은 기술 중심으로 전환했다”며 “이러한 양상이 해외로 확대될 시 국내 기업 주도권 확보에 제약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