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량에 중국산 부품을 쓰지 않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는 14일(현지시각) 테슬라가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부품을 납품하는 주요 협력업체들에 중국에서 만든 부품을 전면적으로 배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테슬라는 올해 초 중국산 부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으며 테슬라와 협력사들은 이미 일부 중국산 부품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하기 시작한 상태"라고 전했다.
테슬라는 앞으로 1~2년 안에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의 모든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테슬라의 중국 부품 의존 탈피 전략은 몇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돼왔다. 테슬라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에서 생산된 부품을 수급하는 데 심각한 차질을 빚자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WSJ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테슬라의 ‘탈중국’ 전략이 더욱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테슬라의 탈중국 전략에서 가장 큰 난관은 배터리다. 특히 가격 경쟁력이 높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는 대체하기 가장 어려운 부품으로 꼽힌다. 중국 CATL(닝더스다이)은 테슬라 LFP 배터리 핵심 공급사였다.
WSJ는 테슬라가 중국산 LFP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을 미국에서 판매했으나 그로 인해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올해 들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내 중국산 LFP 배터리 사용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자체 LFP 배터리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달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생산 시설이 내년 1분기 안에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격화된 지정학적 갈등 때문에 테슬라가 ‘중국 없는 공급망(China-free strategy)’ 전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이 중국을 향한 무역협상 압박 수위를 높이자 중국이 자동차 생산에 널리 쓰이는 특정 희토류와 자석에 대한 수출 제한을 가하면서 자동차 업계 전반이 흔들리기도 했다.
WSJ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깊어지는 지정학적 긴장의 여파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진단했다. 김대철 기자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는 14일(현지시각) 테슬라가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부품을 납품하는 주요 협력업체들에 중국에서 만든 부품을 전면적으로 배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가 14일(현지시각)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중국산 부품의 전면적 배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테슬라는 올해 초 중국산 부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으며 테슬라와 협력사들은 이미 일부 중국산 부품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하기 시작한 상태"라고 전했다.
테슬라는 앞으로 1~2년 안에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의 모든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테슬라의 중국 부품 의존 탈피 전략은 몇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돼왔다. 테슬라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에서 생산된 부품을 수급하는 데 심각한 차질을 빚자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WSJ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테슬라의 ‘탈중국’ 전략이 더욱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테슬라의 탈중국 전략에서 가장 큰 난관은 배터리다. 특히 가격 경쟁력이 높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는 대체하기 가장 어려운 부품으로 꼽힌다. 중국 CATL(닝더스다이)은 테슬라 LFP 배터리 핵심 공급사였다.
WSJ는 테슬라가 중국산 LFP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을 미국에서 판매했으나 그로 인해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올해 들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내 중국산 LFP 배터리 사용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자체 LFP 배터리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달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생산 시설이 내년 1분기 안에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격화된 지정학적 갈등 때문에 테슬라가 ‘중국 없는 공급망(China-free strategy)’ 전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이 중국을 향한 무역협상 압박 수위를 높이자 중국이 자동차 생산에 널리 쓰이는 특정 희토류와 자석에 대한 수출 제한을 가하면서 자동차 업계 전반이 흔들리기도 했다.
WSJ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깊어지는 지정학적 긴장의 여파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진단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