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수출입은행이 한계기업에 제공한 대출 및 보증 규모가 4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수출입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의 한계기업 여신은 모두 3조9026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계기업은 심각한 경영난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낮아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한계기업은 모두 141곳으로 대기업이 15곳, 중견기업이 73곳, 중소기업이 53곳 등이었다.
한계기업 여신 잔액은 대기업이 2조4455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이 1조2853억 원, 중소기업이 1718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 여신을 이용하는 곳 가운데 87곳이 구조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자율협약은 2곳, 워크아웃 6곳, 회생절차 23곳, 파산 6곳 등으로 분석됐다.
건전성 지표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은행의 2025년 8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213억 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89%로 집계됐다.
연도별 부실채권 발생 금액을 보면 2021년 1조1909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2776억 원, 2023년 6668억 원, 2024년 2223억 원 등 불규칙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올해 8월 말에는 114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대출 연체율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연도별 연체 잔액은 2021년 1조759억 원에서 2022년 6846억 원, 2023년 3365억 원으로 감소하다가 2024년 3592억 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8월 말 잔액은 46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체율 역시 2021년 1.39%, 2022년 0.79%, 2023년 0.40%, 2024년 0.40% 등으로 낮아지다가 올해 8월 말 0.53%으로 올랐다.
박 의원은 “과도한 한계기업 여신과 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의 신호”라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
10일 수출입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의 한계기업 여신은 모두 3조9026억 원으로 집계됐다.

▲ 수출입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한계기업 여신이 모두 3조9026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한계기업은 심각한 경영난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낮아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한계기업은 모두 141곳으로 대기업이 15곳, 중견기업이 73곳, 중소기업이 53곳 등이었다.
한계기업 여신 잔액은 대기업이 2조4455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이 1조2853억 원, 중소기업이 1718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 여신을 이용하는 곳 가운데 87곳이 구조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자율협약은 2곳, 워크아웃 6곳, 회생절차 23곳, 파산 6곳 등으로 분석됐다.
건전성 지표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은행의 2025년 8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213억 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89%로 집계됐다.
연도별 부실채권 발생 금액을 보면 2021년 1조1909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2776억 원, 2023년 6668억 원, 2024년 2223억 원 등 불규칙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올해 8월 말에는 114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대출 연체율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연도별 연체 잔액은 2021년 1조759억 원에서 2022년 6846억 원, 2023년 3365억 원으로 감소하다가 2024년 3592억 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8월 말 잔액은 46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체율 역시 2021년 1.39%, 2022년 0.79%, 2023년 0.40%, 2024년 0.40% 등으로 낮아지다가 올해 8월 말 0.53%으로 올랐다.
박 의원은 “과도한 한계기업 여신과 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의 신호”라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