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이 2035년까지 국내 정책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과 비교해 60%까지 감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은 26일 공동으로 진행한 통합평가모델링 분석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2035년까지 해외 감축 수단 없이 국내 정책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60% 감축할 수 있다.
연구진은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하지 않아도 실현 가능한 최고 수준의 국내 감축 경로를 도출해냈다"며 "현 정부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이런 현실적이면서도 진전된 조치들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앞서 올해 4월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과 합작해 내놓은 보고서와 비슷한 결론을 내놨다. 당시 기후솔루션은 한국이 국내 감축 정책을 통해 61%까지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서울대와 카이스트는 한국 맞춤형 통합평가모형인 'GCAM-ROK'를 사용해 이번 분석을 진행했다. 해당 모형은 전력, 산업, 건물, 수송, 농업, 폐기물 등 전 부문의 정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진은 다양한 정책 조합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2035년 석탄발전 조기 퇴출, 연간 4GW 수준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 고로 수명 연장 금지 및 전기로·수소환원철 확대, 제로에너지건축 강화,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을 통해 60% 감축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현재 정부는 석탄발전소 퇴출 시기를 2040년으로 잡고 있으며 해상풍력 설치량은 연간 2.8GW로 계획하고 있다. 고로 수명 연장 금지 조치도 단행하고 있지 않으며 수소환원제철은 2030년 이후에 상용화될 것으로 계획돼 있다.
사실상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감축 계획을 몇 년씩 앞당겨야 한다는 뜻이다.
연구진이 사용한 시나리오에서 전체 산업 부문 가운데 감축 잠재력이 가장 높은 분야는 전력 부문으로 평가됐다. 감축량으로 따지면 2억3680만 톤으로 전체 감축량의 절반을 전력 부문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은 목표 제시를 넘어 실제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의 경로를 정량적으로 밝혀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특히 2035년 석탄 조기 폐지와 재생에너지 대규모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정량적 근거를 제시한 것은 정책 논의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서울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은 26일 공동으로 진행한 통합평가모델링 분석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2035년까지 해외 감축 수단 없이 국내 정책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60% 감축할 수 있다.

▲ 서울대와 카이스트 연구진이 국내 감축 수단만으로 한국이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60%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사진은 서울대 정문 모습. <서울대>
연구진은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하지 않아도 실현 가능한 최고 수준의 국내 감축 경로를 도출해냈다"며 "현 정부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이런 현실적이면서도 진전된 조치들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앞서 올해 4월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과 합작해 내놓은 보고서와 비슷한 결론을 내놨다. 당시 기후솔루션은 한국이 국내 감축 정책을 통해 61%까지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서울대와 카이스트는 한국 맞춤형 통합평가모형인 'GCAM-ROK'를 사용해 이번 분석을 진행했다. 해당 모형은 전력, 산업, 건물, 수송, 농업, 폐기물 등 전 부문의 정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진은 다양한 정책 조합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2035년 석탄발전 조기 퇴출, 연간 4GW 수준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 고로 수명 연장 금지 및 전기로·수소환원철 확대, 제로에너지건축 강화,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을 통해 60% 감축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현재 정부는 석탄발전소 퇴출 시기를 2040년으로 잡고 있으며 해상풍력 설치량은 연간 2.8GW로 계획하고 있다. 고로 수명 연장 금지 조치도 단행하고 있지 않으며 수소환원제철은 2030년 이후에 상용화될 것으로 계획돼 있다.
사실상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감축 계획을 몇 년씩 앞당겨야 한다는 뜻이다.
연구진이 사용한 시나리오에서 전체 산업 부문 가운데 감축 잠재력이 가장 높은 분야는 전력 부문으로 평가됐다. 감축량으로 따지면 2억3680만 톤으로 전체 감축량의 절반을 전력 부문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은 목표 제시를 넘어 실제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의 경로를 정량적으로 밝혀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특히 2035년 석탄 조기 폐지와 재생에너지 대규모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정량적 근거를 제시한 것은 정책 논의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