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미국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기지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용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1일 “정부가 주도한 한국-미국 조선협력 ‘마스가’ 프로젝트와 함께 MRO 사업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국내 조선기업들이 진입할 수 있는 MRO 시장 규모를 감안하면 중립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안타증권 "미국 해군 MRO 사업 중립적 접근해야, 군산조선소 'MRO 기지'로 부적합"  

▲ 김용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미국 해군 MRO 사업에 대한 중립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사진)가 MRO 기지로는 부적합하다고 21일 주장했다. <연합뉴스>


통상 미 해군의 MRO 관련 예산은 연간 20조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다만, 미 해군은 2025년에 운영·유지 항목에 121억 달러(약 17조 원), 기타조달 항목에 24억 달러(3조3500억 원)을 책정했다. 

두 항목은 미국 내 조선소만 열린, 해외 조선소의 사업 참여가 법적으로 제한된 예산이다. 현재 해외 조선소가 참여할 수 있는 사업의 예산은 해상수송사령부(MSC) 산하 지원함의 MRO 예산 11억 달러(1조5천억 원) 규모라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해상수송사령부의 지원함 배치가 전 세계에 퍼져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규모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2025년 1월 기준 해상수송사령부는 선박 122척을 보유하고 있다”며 “동북아시아 지역에 상당수가 배치됐다는 전제 하에 국내 조선업체의 입찰 가능 선박은 60척 정도로 상정하며, 통상 선박의 드라이도크-MRO가 5년에 1번 꼴로 실시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1년에 12척 안팎의 MRO 물량이 국내 조선소에 할당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전북 군산시에 위치한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MRO 기지’로 부적합하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는 △항공모함 3척이 들어갈 정도로 넓은 도크 면적 △중국 본토로부터 공격을 받을 수도 있는 지리적 위치 △정치적 반발 △후방지원 연결성 저조 등을 들었다.

그는 “미국 육·해·공군의 합작 독트린(Joint Doctrine)에 따르면 MRO 기지와 같은 핵심 자산은 무기 교전구역을 고려해야하는데 군산은 산둥반도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공격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군산에 MRO 기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미국-중국 군사적 대립이 심해지며, 일본에 위치한 미군 기지와 거리도 상당히 멀다”고 말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한 대안으로 HJ중공업, 케이조선 등의 중형조선소를 들었다. 

다만 그는 “문제는 중형조선소 운영 기업들의 MRO 사업 진출 여부의 불확실성”이라며 “상선건조와 MRO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대형조선소와 달리 중형조선사의 도크는 완전히 MRO 목적으로 쓰여야 한다”고 바라봤다.

그는 △상선 건조를 대체할 높은 수익성 △MRO 발주 물량의 안정적 유지 △대형조선소와 경쟁해 수주를 따낼 가능성 등 요건들이 MRO 사업이 갖춰야 중형조선소들이 ‘MRO 기지화’라는 경영판단을 할 것으로 봤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