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대기업들의 북미 매출이 증가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타격이 더욱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반도체, IT·전기전자, 자동차, 제약·바이오 등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2024년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하고 북미 지역 매출을 별도 공시한 10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2024년 북미 매출은 전년보다 19.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100개 기업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은 262조2714억 원 수준이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매출은 313조5231억 원으로 1년 사이에 51조2516억 원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매출도 1042조1534억 원에서 1117조3468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북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5.2%에서 28.1%로 2.9%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IT·전기전자 분야의 북미 시장 매출은 42.7% 증가했다.
해당 분야에서 지역별 매출을 공시한 12개 기업의 북미 실적은 2023년 3분기 80조646억 원에서 지난해 3분기 114조2517억 원으로 34조1871억 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매출 증가율인 26.1%보다 2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3분기 미국 매출 규모가 전체의 45.4%인 9조7357억 원이었는데, 2024년 3분기에는 27조3058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58.8%를 차지하며 3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또 회사 전체 매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3.4%포인트 증가했다.
삼성전자도 2024년 3분기 미주 매출이 84조6771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68조2784억 원보다 24%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미주 지역 비중은 1.9%포인트 증가했다.
인공지능(AI) 확대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효성중공업과 LS일렉트릭의 북미 매출도 늘어났다. 효성중공업은 해당 기간 2795억 원에서 4397억 원으로 57.3% 증가했고, LS일렉트릭은 6843억 원에서 7687억 원으로 12.3% 증가했다.
자동차 업종도 북미 매출이 늘었다.
북미 지역 매출을 별도 공시한 23개 자동차 기업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14조3563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129조4360억 원으로 13.2%(15조797억 원) 증가했다. 이 기간 자동차 업종의 전체 매출 증가율인 4.8%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현대차와 기아가 북미 지역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현대차는 2023년 3분기 북미 매출 49조509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57조3826억원 으로 17.0%(8조3317억 원) 증가했고, 기아도 43조7245억 원에서 48조9473억 원으로 12.0%(5조2228억 원) 늘었다.
다만 이차전지 업종은 북미 매출이 감소했다.
2023년 3분기 8조724억 원이었던 북미 매출은 2024년 3분기 6조2191억 원으로 23.0% 줄었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도 35조6719억 원에서 22조7843억 원으로 36.1% 급감했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의 매출 감소폭이 컸다. 2023년 3분기 1조3225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500억 원으로 96.2% 줄어들며 북미 매출이 축소됐다. SK온도 이 기간 1조6341억 원에서 9348억 원으로 4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역별 매출을 공시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이 밖에 조선·기계·설비, 석유화학, 철강, 유통 업종 순으로 북미 매출이 감소했다. 이 가운데 조선·기계·설비 업종은 7171억 원(-7.7%), 석유화학은 7005억 원(-7.7%)이 각각 줄었으나, 글로벌 전체 매출 규모는 각각 4.3%, 4.4% 늘었다.
리더스인덱스는 “미국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본격적으로 적용할 경우, 올해 한국 대기업들의 실적에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며 “특히 반도체, IT·전기전자, 제약·바이오 업종 기업들의 북미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해당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호현 기자
특히 반도체, IT·전기전자, 자동차, 제약·바이오 등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IT·자동차' 트럼프 관세 타격 전망, 작년 한국기업 북미 매출 20% 늘어](https://admin.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1/20250123104810_119659.jpg)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20년 7월29일 텍사스주 미들랜드에 위치한 더블 이글 유정을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2024년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하고 북미 지역 매출을 별도 공시한 10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2024년 북미 매출은 전년보다 19.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100개 기업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은 262조2714억 원 수준이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매출은 313조5231억 원으로 1년 사이에 51조2516억 원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매출도 1042조1534억 원에서 1117조3468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북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5.2%에서 28.1%로 2.9%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IT·전기전자 분야의 북미 시장 매출은 42.7% 증가했다.
해당 분야에서 지역별 매출을 공시한 12개 기업의 북미 실적은 2023년 3분기 80조646억 원에서 지난해 3분기 114조2517억 원으로 34조1871억 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매출 증가율인 26.1%보다 2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3분기 미국 매출 규모가 전체의 45.4%인 9조7357억 원이었는데, 2024년 3분기에는 27조3058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58.8%를 차지하며 3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또 회사 전체 매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3.4%포인트 증가했다.
삼성전자도 2024년 3분기 미주 매출이 84조6771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68조2784억 원보다 24%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미주 지역 비중은 1.9%포인트 증가했다.
인공지능(AI) 확대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효성중공업과 LS일렉트릭의 북미 매출도 늘어났다. 효성중공업은 해당 기간 2795억 원에서 4397억 원으로 57.3% 증가했고, LS일렉트릭은 6843억 원에서 7687억 원으로 12.3% 증가했다.
자동차 업종도 북미 매출이 늘었다.
북미 지역 매출을 별도 공시한 23개 자동차 기업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14조3563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129조4360억 원으로 13.2%(15조797억 원) 증가했다. 이 기간 자동차 업종의 전체 매출 증가율인 4.8%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현대차와 기아가 북미 지역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현대차는 2023년 3분기 북미 매출 49조509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57조3826억원 으로 17.0%(8조3317억 원) 증가했고, 기아도 43조7245억 원에서 48조9473억 원으로 12.0%(5조2228억 원) 늘었다.
다만 이차전지 업종은 북미 매출이 감소했다.
2023년 3분기 8조724억 원이었던 북미 매출은 2024년 3분기 6조2191억 원으로 23.0% 줄었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도 35조6719억 원에서 22조7843억 원으로 36.1% 급감했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의 매출 감소폭이 컸다. 2023년 3분기 1조3225억 원에서 2024년 3분기 500억 원으로 96.2% 줄어들며 북미 매출이 축소됐다. SK온도 이 기간 1조6341억 원에서 9348억 원으로 4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역별 매출을 공시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이 밖에 조선·기계·설비, 석유화학, 철강, 유통 업종 순으로 북미 매출이 감소했다. 이 가운데 조선·기계·설비 업종은 7171억 원(-7.7%), 석유화학은 7005억 원(-7.7%)이 각각 줄었으나, 글로벌 전체 매출 규모는 각각 4.3%, 4.4% 늘었다.
리더스인덱스는 “미국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본격적으로 적용할 경우, 올해 한국 대기업들의 실적에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며 “특히 반도체, IT·전기전자, 제약·바이오 업종 기업들의 북미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해당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