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빅테크 기업들의 엔비디아 반도체 수요를 대체하기엔 한계가 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객사와 직접적 경쟁 관계에 놓여 있고 소프트웨어 생태계 경쟁력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구글의 자체 개발 텐서 프로세서(TPU) 인공지능 반도체 홍보용 이미지.
다만 구글이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따라잡기 어렵고 인공지능 반도체 잠재 고객사와 직접적 경쟁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미국 CNBC는 26일 “엔비디아가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왕관’을 지켜내기 쉽지 않아 보인다”며 “이를 지켜내려면 그만큼의 무게를 감당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최근 엔비디아 제품 대신 자체 설계 텐서프로세서(TPU)를 주로 활용해 개발한 새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 ‘제미나이3’을 선보인 뒤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에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가 필수라는 고정관념을 깬 셈이다.
이는 자연히 구글 지주사 알파벳의 주가 상승과 엔비디아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이후 구글이 메타에 TPU를 공급할 가능성이 거론되자 이러한 흐름이 더 뚜렷해졌다.
구글이 자체 데이터센터 및 슈퍼컴퓨터에 사용하는 반도체뿐 아니라 다른 빅테크 기업이 구매하는 제품마저 엔비디아가 아닌 구글 기술로 대체될 수 있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는 사실상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던 만큼 이는 증시 전반에 큰 충격을 안겼다.
엔비디아가 공식 소셜네트워크 계정에 “구글은 앞으로도 우리의 고객사로 남을 것”이라며 “엔비디아 반도체는 이보다 한 단계 앞서나가고 있다”는 성명을 냈을 정도다.
CNBC는 “구글이 공개한 제미나이3과 맞춤형 인공지능 반도체는 인공지능 시장 전반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는 평가를 전했다. 엔비디아가 중심이던 시장 질서가 재편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그동안 엔비디아 반도체 구매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던 기업들은 가격이 낮은 구글 반도체로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점에 후회를 느낄 수 있다”고 바라봤다.
엔비디아 반도체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서버 비용의 약 3분의2를 차지하는 반면 구글 프로세서는 10분의1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증권사 번스타인의 분석도 제시됐다.
▲ 엔비디아가 오라클에 공급한 블랙웰 GPU 기반 서버용 인공지능 반도체 제품 홍보용 사진.
증권사 제프리스는 구글의 내년 인공지능 반도체 생산량이 300만 대 안팎으로 엔비디아의 절반 수준에 이를 가능성도 제시했다.
투자기관 DA데이비슨 연구원은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 연구소 및 반도체 부문의 사업 가치가 1조 달러(약 1467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치도 내놓았다.
구글의 자체 설계 반도체가 인공지능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기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관측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다만 구글 인공지능 반도체가 메타에 이어 다른 빅테크 기업에서 꾸준한 수요를 대거 확보하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반론도 고개를 든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엔비디아 인공지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연동된 생태계가 관련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데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이코노미스트는 “AI 개발자들은 이미 엔비디아 생태계에 익숙하다”며 “구글 TPU 관련 소프트웨어는 자사 서비스 중심으로 구축된 반면 엔비디아 플랫폼은 광범위한 소프트웨어와 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이미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엔비디아 소프트웨어 기반 생태계에 익숙해진 고객사와 개발자들이 구글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로 넘어가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조사기관 씨포트리서치는 이코노미스트에 “구글이 자체 인공지능 반도체 외부 판매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을 수 있다”며 “이들을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사로 유도하는 일이 수익성에 더 보탬이 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구글이 경쟁을 의식해 인공지능 반도체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이어졌다.
결국 생성형 인공지능 시장에서 직접적 경쟁 관계에 놓인 빅테크 기업들과 구글의 원만한 협력 관계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다.
아마존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역시 구글을 뒤따라 자체 인공지능 반도체를 설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에 투자 부담을 줄이려는 목적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모든 요인은 엔비디아가 경쟁을 크게 우려하지 않는 배경일 수 있다”며 “엔비디아가 이전과 같은 ‘철옹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저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