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에 관람객이 오가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그런 핀테크가 단순한 기술 접목을 넘어 금융을 ‘취향의 시대’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행사가 열렸다.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에는 시중은행을 비롯해 여러 핀테크사가 참여해 빠르게 변하는 디지털 금융 시장 현황을 한눈에 보여줬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환영사에서 “금융이 AI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초대형 투자를 추진하고 금융 관련 AI 인프라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 이억원 금융위원장(앞줄 왼쪽)이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 네이버페이 부스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 위원장은 환영사 뒤 뱅크샐러드, 네이버페이 등 여러 부스를 둘러보고 서비스를 체험했다.
현장에 마련된 다수의 부스들은 행사 주제의 연장선에서, 신기술을 고객 맞춤형 서비스에 활용하고 체험하는 ‘초개인화’에 중점을 두고 꾸며졌다.
▲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 삼성금융네트웍스 부스에서 관람객이 금융 성향에 맞춘 서비스를 체험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모니모 부스는 고객 ‘금융 성향’을 진단한 뒤 그에 맞춘 상품과 서비스를 추천받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NH농협은행은 음성인식 기술 등을 활용한 디지털 창구(STM)를 체험해 볼 수 있게 마련됐다.
현장에서 만난 NH농협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창구를 약 4개 점포에 설치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 장소나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에서 관람객이 STM을 체험해 보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기존 맞춤형 포트폴리오 추천과 비슷한 기능을 하면서도 감성적으로 접근해 심리적 허들을 완화한 점이 눈에 띄었다.
지난해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의 민트색 부스에서는 ‘AI 에이전트’를 체험할 수 있었다.
▲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에 설치된 iM금융 부스에서 관계자들이 시연을 준비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일하는 20대 아르바이트생으로 설정한 뒤 ‘1년 만기로 월 10만 원씩 납입하려는데 어떤 적금이 가장 수익성이 좋아?’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상품 몇 가지를 비교해 추천받는 방식이다.
▲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 2025’에서 DB아이엔씨 관계자가 소액단기보험사에 최적화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시연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DB아이엔씨 관계자는 “소액단기보험사들이 IT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원활하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돕는 것”이라며 “현재는 펫보험 중심으로 마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로 7번째 열리는 코리아핀테크위크는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28일까지 진행된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