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저널] 조기 대선 뒤 정권 출범과 김영섭 KT 대표 임기 맞물려, KT CEO 교체의 흑역사](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4/20250427121350_78091.jpg)
▲ KT의 최고경영자 자리는 정치적 외풍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 잦은 교체양상을 띄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탄핵결정을 받아 파면됨에 따라 조기 대선 국면이 펼쳐져서다.
KT의 최고경영자(CEO) 자리는 단순한 경영 책임자를 넘어 정치적 이해관계와 맞닿아 있는 복잡한 자리이기 때문에 조기 대선을 앞둔 현 시점에서 2026년 3월 정기주총까지 임기를 남겨둔 KT 김영섭 대표이사의 연임에 불확실성이 커지게 됐다.
◆ 김영섭 대표 취임과 단기내 변화 시도
현재 KT를 경영하고 있는 김영섭 대표 역시 정치권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김영섭 대표는 2023년 8월 취임하며 ‘실무형 CEO’ 이미지로 경영 정상화와 체질 개선을 동시에 강조해왔다.
특히 그는 LG유플러스 출신 재무전문가로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KT 내부 구조조정과 성장 동력 발굴에 힘썼다.
하지만 그의 연임 가능성은 조기 대선 정국과 맞물리면서 미지수로 변했다.
올해 연말이나 늦어도 2026년 1월까지는 차기 사장이 선임돼야 하는 셈이다.
KT 안팎에서는 경영 성과와 정치적 코드 부합 여부가 변수로 거론되고 있다.
김 대표의 연임 가능성과 관련해 주목할만한 점으로는 최근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공약 설계를 주도할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에 구현모 전 KT 대표가 포함됐다는 것이다.
통신업계에서는 이재명 전 대표가 당선될 경우 구 전 대표의 KT 대표이사 귀환 가능성을 점치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김 대표의 연임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정치권의 외풍에 따라 김영섭 KT 대표도 또다시 희생양이 될지 시선이 모이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김영섭 대표의 거취가 조기대선 이후 어떤 방향으로 결정되든, KT는 국내 ICT 산업의 미래를 책임지는 공기업 출신 민간기업으로서 ‘경영 일관성과 정치 독립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할 중대한 과제를 떠안았다.
◆ 정권마다 반복된 KT CEO 교체, 낙하산 인사와 검찰수사 악순환
KT는 2002년 민영화 이후 정권 변화에 따라 최고경영자가 교체되는 일이 반복되면서 정치권과 유착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최고경영자 인선 과정에서 '낙하산 인사' 논란이 불거졌고, 일부 경영진은 검찰 수사에 휘말려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퇴진하는 일이 되풀이됐다.
KT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이용경 사장이, 이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남중수 사장이 연이어 KT 내부 출신 인사로 대표이사를 맡았다.
그러나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KT에는 외부 인사의 수혈이 본격화됐다.
김영삼 정부 시절 청와대 경제수석과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이석채 회장이 2009년 KT 대표이사로 취임하면서 정치권 출신 최고경영자(CEO) 시대가 열렸다.
이석채 회장 재임 중에는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 출신 이태규 현 국민의힘 의원과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 등이 KT 고위 임원으로 합류하면서 낙하산 논란이 가중됐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뒤에는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장 출신 황창규 회장이 KT 최고경영자로 발탁됐다.
특히 황 회장은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검찰 수사를 받았다.
2017년 3월8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2부 심리로 열린 광고감독 차은택씨에 대한 재판에서 검찰이 공개한 황 회장의 진술서에 따르면 2015년 안종범 당시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윗선의 관심사항'이라면서 차씨의 지인 이동수씨를 채용했으면 좋겠다는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KT 최고경영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정기관의 수사를 받거나 정치적 압박 속에서 자리에 영향을 받는 일이 반복됐다.
남중수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되었고, 이석채 전 회장 역시 박근혜 정부 시절 배임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았다.
KT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통신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정권 변화에 따라 경영진이 교체되는 관행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정치적 영향력이 인사와 경영 전반에 작용하면서 기업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