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주식 매수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수주잔량이 늘어 매출 증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갖췄지만 해양플랜트 고정비 등이 부담으로 작용해 내년에도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13일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14만 원, 투자의견을 중립(HOLD)로 제시했다.
현대중공업 주가는 12일 13만3천 원에 장을 마쳤다.
정 연구원은 "내년에 현대중공업 조선부문은 매출 증가가 기대되지만 해양플랜트부문은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부문은 현재 수주잔고가 4억7천만 달러뿐이다. 올해 3분기까지 해양플랜트부문의 누적 매출도 801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에 불과하다.
정 연구원은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부문은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희망퇴직 등 인력조정도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며 "연간 3천억 원에 가까운 고정비를 어떻게 극복하는가가 관건"이라고 봤다.
현대중공업은 내년에 매출 13조5490억 원, 영업손실 114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추정치보다 매출은 4.9% 늘고 영업손실 폭은 축소되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조선부문은 매출 증가와 선박 건조가격 상승, 충당금 적립효과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전체 흑자 전환이 가능한 정도로 수익성이 나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연구원은 "선박 건조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내년에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현대중공업 주가 상승폭을 제한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수주잔량이 늘어 매출 증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갖췄지만 해양플랜트 고정비 등이 부담으로 작용해 내년에도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 한영석 가삼현 현대중공업 공동대표이사 사장.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13일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14만 원, 투자의견을 중립(HOLD)로 제시했다.
현대중공업 주가는 12일 13만3천 원에 장을 마쳤다.
정 연구원은 "내년에 현대중공업 조선부문은 매출 증가가 기대되지만 해양플랜트부문은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부문은 현재 수주잔고가 4억7천만 달러뿐이다. 올해 3분기까지 해양플랜트부문의 누적 매출도 801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에 불과하다.
정 연구원은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부문은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희망퇴직 등 인력조정도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며 "연간 3천억 원에 가까운 고정비를 어떻게 극복하는가가 관건"이라고 봤다.
현대중공업은 내년에 매출 13조5490억 원, 영업손실 114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추정치보다 매출은 4.9% 늘고 영업손실 폭은 축소되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조선부문은 매출 증가와 선박 건조가격 상승, 충당금 적립효과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전체 흑자 전환이 가능한 정도로 수익성이 나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연구원은 "선박 건조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내년에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현대중공업 주가 상승폭을 제한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