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과 GM이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에 설립한 배터리 합작공장. < GM >
GM이 중국산 소재를 언제까지 퇴출시키라고 구체적 시한까지 제시함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로서는 비중국 공급망을 빠르게 갖춰야 하게 됐다. 이에 따른 비용 추가 부담이 생길 수 있다.
12일(현지시각) 로이터는 4명의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GM이 수천 곳의 공급사에게 중국산 소재를 퇴출하라고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국내 전자업계 한 관계자도 비즈니스포스트에 “GM이 (소재와 부품) 주요 공급사 모두에게 해당 요청을 해왔다”고 확인했다.
현재 GM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공장 완공 뒤 공급에 나설 삼성SDI 또한 공급망 다각화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GM은 배터리 소재와 자동차용 반도체를 비롯한 부품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작업을 우선 자체적으로 벌여 왔다.
그런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올해 1월20일 출범한 뒤 미중 통상 갈등이 불거져 GM처럼 미국에서 사업하는 기업에겐 공급망 다각화 필요성이 커졌다. GM은 지정학 변수와 같은 다른 요소까지 고려할 수밖에 없어 이번에 공급사한테도 '탈중국'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는 “GM이 기본적인 부품과 소재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 한다”고 분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2020년 12월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세운 뒤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오하이오주와 테네시주에 공장을 세워 운영하고 있다.
삼성SDI는 아직 배터리 공급을 준비하는 단계라 이번 통보를 받았을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GM이 시한까지 정한 만큼 이들 업체는 2년 내 배터리 소재를 중국 외 다른 곳에서 조달할 방안을 확보해야 함에 따라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 삼성SDI와 GM이 미국 인디애나주 뉴칼라일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첫 번째 철근 뼈대를 설치하고 있다. <건설사 바톤말로우가 올해 7월 초에 올린 영상 갈무리>
중국은 광물 채굴과 제련까지 세계 배터리 공급망에 깊고 넓게 뿌리내리고 있다. 배터리 음극재 필수 소재인 흑연과 같은 경우 중국 점유율이 90% 안팎에 달한다.
이에 비중국산 소재는 상대적으로 공급이 적어 비쌀 수밖에 없는 시장 구조라 공급망 탈중국은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더구나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모두 미국 현지 배터리 설비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한 만큼 공급망 이전 비용에 부담이 더욱 클 수 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의 수요 정체로 두 기업은 기존의 라인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제품용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고려중인데 GM이 추가 부담을 얹은 셈이다.
일단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모두 이전부터 배터리 소재 부문에서 탈중국 시도를 하고 있다.
미국 당국이 중국산 소재나 부품을 쓴 배터리는 1킬로와트시(kWh) 용량당 최대 45달러(약 6만6천 원)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하기 때문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9월24일 광산업체 앤슨리소시스로부터 연간 최대 4천 톤의 미국산 탄산리튬을 2028년부터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SDI도 호주 광산업체 시라와 협정을 맺고 내년부터 연간 최대 1만 톤의 흑연 공급받을 예정이다.
요컨대 LG에너지솔루션이나 삼성SDI 등 배터리 업체도 소재 공급처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GM의 급속한 탈중국 기조로 비용 부담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콜린 쇼 미국 자동차부품 공급사 협회(MEMA)의 콜린 쇼 회장은 로이터를 통해 “20~30년에 걸쳐 구축한 (원자재 공급망) 구조를 그렇게 빨리 해체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