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의약품 관세 100%' 임박, 삼성바이오 존 림 미국 공장 확보 기폭제되나

▲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장(사장)이 그동안 ‘시점의 문제’라며 신중하게 검토해 온 미국 공장 확보 계획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를 계기로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 생산기지를 두지 않은 제약사의 의약품에 대해 관세 부과 방침을 구체화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장이 그동안 ‘시점의 문제’라며 신중하게 검토해 온 미국 공장 확보 계획에도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2025년 10월1일부터 제약 제조 공장을 미국 내에 ‘건설 중’인 회사가 아니면, 모든 브랜드 의약품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 중’의 정의는 착공 또는 공사 진행을 의미하며, 공사가 시작된 경우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도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8월 ‘수입 의약품 250% 관세 부과’ 등을 언급했지만, 최대 1년 반의 유예기간을 뒀었다. 이번에는 관세 부과 시점을 불과 1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발표하면서 업계에 혼란을 안겼다.

국내 기업들이 주력으로 생산하는 바이오시밀러(생체의약품 복제약)가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지 여부도 관심사다. 미국의 기존 품목 관세 체계(HS코드)상으로는 의약품의 종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의약품 HS코드로는 브랜드의약품과 특허의약품, 개량신약/바이오베터, 특허 만료의약품(제네릭의약품/바이오시밀러)를 구분할 수 없어 실제로 어떻게 관세 부과 대상을 가려낼지 등이 추가로 확인돼야 한다”며 “10월1일 이전에 의약품 관세의 세부 계획이 공식 발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바이오시밀러도 의약품 부과 대상에 포함된다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함께 국내 바이오시밀러 대표주자로 꼽히는 셀트리온은 최근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생산 거점을 인수하며 선제적으로 관세 불확실성을 해결한 만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미국 생산기지 확보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의 의약품 관세 포함 여부와 별개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이유는 또 있다.  
트럼프발 '의약품 관세 100%' 임박, 삼성바이오 존 림 미국 공장 확보 기폭제되나

▲ 국내 바이오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생산’을 강조하는 정책 기조상 언제든 CDMO 기업을 직접 겨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현재로서는 관세가 제약사에 부과되는 구조여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받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고객사들이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위탁한 물량 일부를 자체 생산으로 전환할 가능성 정도가 주요 우려사항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생산’을 강조하는 정책 기조상, 정책 범위가 CDMO 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삼성바이오로직스로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삼성바이오로직스도 관세 논의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미국 공장 확보를 검토해 왔다. 다만 해외 공장은 건설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 높은 인건비 부담 등으로 만족스러운 매물을 찾기 어려워 구체적인 계획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존 림 대표도 이를 ‘시점의 문제’라고 설명하며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 공장 신설 또는 인수를 지속 검토하고 있지만 적절한 매물 부족으로 구체화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최근 유승호 삼성바이오로직스 최고재무책임자(CFO·부사장)도 1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5’에서 CDMO를 위한 미국과 유럽 소재 플랜트도 인수 혹은 신규 건설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의약품 품목 관세가 확정돼야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장기적으로 미국 현지 생산기지 확보를 전략적 선택지로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업계 관계자는 “의약품 관세 부과의 세부 계획이 발표되어야 한다”며 “관세 불확실성을 확실히 피하려면 미국 내 생산 기지를 확보하는 방법 뿐”이라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