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센터 잔금대출 중단, 수분양자 입주 연기·시행 시공사 연쇄 도산 우려

[비즈니스포스트] 지식산업센터에 입주예정인 중소기업들에 날벼락이 떨어졌다. 중도금 대출을 해줬던 은행이 갑자기 잔금대출을 잠그면서 지식산업센터 입주상황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전국 지식산업센터 1066곳 중 40% 가량이 비어있다. 수도권에서 호황기였던 2022~2023년에 대거 공급된 지식산업센터 입주가 이어져야 하는데 잔금대출이 막히면서 입주율이 낮아지고 있다. 

수분양자와 업계는 지식산업센터 공실 증가로 감정평가액이 낮아졌다. 은행은 이를 근거로 대출 한도를 줄일 수 있지만, 전국적으로 일괄적인 기준적용은 과도하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통상 계약금 10%, 중도금 50%, 잔금 40% 비율로 납부한다. 중도금은 집단대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입주가 시작되면 잔금은 부동산담보대출로 전환된다.

그런데 금융권이 지난해까지 분양가의 70%이상 해주던 대출을 올 들어 40% 이하로 줄이면서 입주에 곤란을 겪는 수분양자들이 늘어났다. 수분양자들이 자부담으로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한꺼번에 수억~수십억원씩 마련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식산업센터 잔금대출 중단의 1차 피해자는 수분양자들이다. 입주 때 도래하는 중도금도 갚아야 하는데 연체하면 연체이자뿐만 아니라 금융거래에 불이익을 받는 신용불량자로 몰릴 위기에 처한다.

잔금을 내지 못한 수분양자들이 줄줄이 입주를 미루거나 포기하면서 시행사와 시공사는 자금난을 겪고 있다. 자칫 경영난이 길어지면 연쇄도산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산업·업무시설인 지식산업센터는 주택과 달리 정부의 대출 규제 발표가 없었는데도 금융당국의 간접 압박을 우려한 은행이 알아서 대출 규제를 강화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입지와 상품이 우수한 지식산업센터라고 하더라도 잔금대출이 되지 않는 한 입주율을 끌어올리기 난망한 상황”이라며 “신용도·사업성·담보가치에 기반한 선별 대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