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이 그룹 정상화를 위한 마지막 단추로 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대구은행 이사회와 노조,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이들의 뜻을 한 데 모으기까지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회장은 5월 지주 회장에 오른 뒤 그룹 임원을 대다수를 교체하고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해 비은행부문을 강화하는 등 그룹 체질 개선에 힘써온 데 이어 마지막 숙제로 꼽히는 지배구조 개편에 힘을 쏟고 있다.
DGB금융지주 이사회는 19일 지주회사가 대구은행 등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후보 관리 및 추천을 맡고 최고경영자 후보자 요건 및 검증절차를 강화하는 방안을 담은 지배구조 개편안을 통과시켰다.
이와 함께 사외이사 선임 절차, 외부평가 절차 등도 더욱 엄격하게 규정했다.
김 회장은 “은행장 추천권을 지주회사가 보유하는 것과 관련해 일부 다른 의견이 있지만 투명하고 명확한 기준을 세운다는 취지에는 모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 대구은행장이 비어있는 상황에서 대구은행 이사회와 대구은행 노조의 반발이 거세다.
대구은행 이사회는 대구은행 내부 인사 가운데 지주회사가 내세운 요건을 만족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외부 인사를 대구은행장에 앉히기 위한 것이라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지금까지는 20년 이상 금융회사 경력이 있으면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했지만 앞으로는 등기임원 경험, 은행 사업본부 임원 경험, 은행 외 지주사 및 다른 금융회사 임원 경험 등도 요건으로 포함됐다.
현직 임원 가운데 일부는 대구은행 채용비리와 비자금 조성, 대구 수성구청 펀드 손실금 보전사건 등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어 행장에 오르기 힘든 상황에서 행장 요건이 강화되면 내부 출신 행장은 사실상 어려워진다.
김진탁 대구은행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추천을 DGB금융지주 자회사 최고경영자후보 추천위원회가 맡으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도록 한 법에 어긋난다”며 “사외이사 추천을 주주 등 외부에서 맡고 인선자문위원회에서 선정하면 사외이사제도의 독립성에 위배된다”고 말했다.
DGB금융지주가 “행장 후보군을 추릴 때 은행 이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히면서 대구은행 이사회에 여지를 남겨줬지만 대구은행 이사회는 지주 권한이 더욱 커지는 것 자체가 마뜩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구은행 노조는 지주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놓고 미묘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구은행에는 4급 이하 직원이 노조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노총 전국금융산업노조 대구은행지부(1노조)와 3급 이상 간부직원으로 꾸려진 대구은행 민주노동조합(2노조)가 활동하고 있다.
대구은행 민주노동조합(2노조)은 “김 회장은 겉으로 선진화란 명분으로 회장 1인 독점의 지배구조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은행장 자리까지 차지해 장기 집권을 추진하려는 꼼수”라고 주장했다.
반면 금융노조 대구은행지부(1노조)는 “은행장 후보 추천권을 놓고 지주회사와 은행 사이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직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지주회사와 은행은 서로 마음을 열고 합리적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지역 52개 시민단체 및 사회단체로 꾸려진 대구은행 부패청산시민대책위원회는 김 회장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적극 지지하며 김 회장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대구은행 채용비리나 수성구 펀드 손실금 보전사건 등에 연루된 대구은행 내부 출신 인사들은 새 행장 후보군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 지금 대구은행 사외이사들도 박인규 전 DGB금융지주 회장 겸 대구은행장과 인연이 깊은 인물들인 만큼 이들이 지주회사의 결정에 반발하는 것을 ‘기득권 다툼’으로 판단해 곱게 보지 않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김 회장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앞세워 DGB금융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강행하고 있지만 내부의 반발이 장기화되면 그룹 정상화라는 목적에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며 “지주회사와 은행의 ‘힘 겨루기’가 이어지면서 대구은행장 선임 일정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다만 대구은행 이사회와 노조,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이들의 뜻을 한 데 모으기까지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회장은 5월 지주 회장에 오른 뒤 그룹 임원을 대다수를 교체하고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해 비은행부문을 강화하는 등 그룹 체질 개선에 힘써온 데 이어 마지막 숙제로 꼽히는 지배구조 개편에 힘을 쏟고 있다.
DGB금융지주 이사회는 19일 지주회사가 대구은행 등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후보 관리 및 추천을 맡고 최고경영자 후보자 요건 및 검증절차를 강화하는 방안을 담은 지배구조 개편안을 통과시켰다.
이와 함께 사외이사 선임 절차, 외부평가 절차 등도 더욱 엄격하게 규정했다.
김 회장은 “은행장 추천권을 지주회사가 보유하는 것과 관련해 일부 다른 의견이 있지만 투명하고 명확한 기준을 세운다는 취지에는 모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 대구은행장이 비어있는 상황에서 대구은행 이사회와 대구은행 노조의 반발이 거세다.
대구은행 이사회는 대구은행 내부 인사 가운데 지주회사가 내세운 요건을 만족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외부 인사를 대구은행장에 앉히기 위한 것이라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지금까지는 20년 이상 금융회사 경력이 있으면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했지만 앞으로는 등기임원 경험, 은행 사업본부 임원 경험, 은행 외 지주사 및 다른 금융회사 임원 경험 등도 요건으로 포함됐다.
현직 임원 가운데 일부는 대구은행 채용비리와 비자금 조성, 대구 수성구청 펀드 손실금 보전사건 등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어 행장에 오르기 힘든 상황에서 행장 요건이 강화되면 내부 출신 행장은 사실상 어려워진다.
김진탁 대구은행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추천을 DGB금융지주 자회사 최고경영자후보 추천위원회가 맡으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도록 한 법에 어긋난다”며 “사외이사 추천을 주주 등 외부에서 맡고 인선자문위원회에서 선정하면 사외이사제도의 독립성에 위배된다”고 말했다.
DGB금융지주가 “행장 후보군을 추릴 때 은행 이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히면서 대구은행 이사회에 여지를 남겨줬지만 대구은행 이사회는 지주 권한이 더욱 커지는 것 자체가 마뜩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구은행 노조는 지주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놓고 미묘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구은행에는 4급 이하 직원이 노조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노총 전국금융산업노조 대구은행지부(1노조)와 3급 이상 간부직원으로 꾸려진 대구은행 민주노동조합(2노조)가 활동하고 있다.
대구은행 민주노동조합(2노조)은 “김 회장은 겉으로 선진화란 명분으로 회장 1인 독점의 지배구조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은행장 자리까지 차지해 장기 집권을 추진하려는 꼼수”라고 주장했다.
반면 금융노조 대구은행지부(1노조)는 “은행장 후보 추천권을 놓고 지주회사와 은행 사이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직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지주회사와 은행은 서로 마음을 열고 합리적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지역 52개 시민단체 및 사회단체로 꾸려진 대구은행 부패청산시민대책위원회는 김 회장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적극 지지하며 김 회장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대구은행 채용비리나 수성구 펀드 손실금 보전사건 등에 연루된 대구은행 내부 출신 인사들은 새 행장 후보군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 지금 대구은행 사외이사들도 박인규 전 DGB금융지주 회장 겸 대구은행장과 인연이 깊은 인물들인 만큼 이들이 지주회사의 결정에 반발하는 것을 ‘기득권 다툼’으로 판단해 곱게 보지 않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김 회장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앞세워 DGB금융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강행하고 있지만 내부의 반발이 장기화되면 그룹 정상화라는 목적에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며 “지주회사와 은행의 ‘힘 겨루기’가 이어지면서 대구은행장 선임 일정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